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중 미래산업 및 동북아 다자경제협력 확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중 미래산업 및 동북아 다자경제협력 확대”
  • 김상민 미래한국 기자
  • 승인 2018.06.29 11: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이재영 원장은 6월 29일(금)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한 ‘제1회 한·중 기업인 및 전직 정부고위인사 대화(약칭: 한·중 고위급 기업인 대화)’에 참석하여 “한·중 미래산업 및 동북아 다자경제협력 확대”를 주제로 발표했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CCIEE: China Center for International Economic Exchanges)가 공동으로 개최한 본 행사에는 한국과 중국의 주요기업 대표 및 전직 정부고위인사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재영 원장은 한·중 간 무역 불균형이 축소되고 있으며 양국간 투자도 과거 한국의 대중국 단방향 투자에서 한국과 중국의 쌍방향 투자로 전환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한국의 대중국 투자는 2014년 이래 연간 30억 달러 내외에서 정체된 성숙단계에 진입했고, 중국의 대한국 투자의 경우 예전보다 증가했으나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첨단 제조업 및 서비스 분야에서 한·중 간 상호 투자의 새로운 모멘텀 창출을 위해 한·중 FTA 후속협상의 조기 타결을 통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또한 산업협력 부문에서 중국과 한국의 미래 육성산업이 상당히 겹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중 양국은 글로벌 4차 산업혁명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두 나라의 비교우위를 접목하여 차세대 정보기술, 신에너지, 바이오의약, 스마트 제조, 로봇, 신에너지 자동차, 신소재 등 미래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일방적인 기술 공여나 수용을 넘은 ‘한·중 공동기술개발’, 미래산업 표준·인증 및 창업·벤처 투자 부분에서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외에 한국의 신북방정책과 중국의 육상 실크로드, 신남방정책과 해상 실크로드가 추구하는 정책의 방향 및 협력 대상 지역이 유사하다고 설명하며, 이 두 정책을 연계하여 양국이 공생·공영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무엇보다 제3국 시장에서의 협력을 위해 공동투자, 공동 파이낸싱 등 양국 협력 모델을 함께 발굴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이재영 원장은 남북관계 완화에 따라 한·중 간 협력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며, 특히 북한과 접경에 있는 중국의 동북 3성 지역에서의 협력 기회 창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남·북·중 또는 남·북·중·러를 연계하여 새로운 산업, 물류, 교통, 에너지, 관광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한반도 신경제구상’의 실현을 통해 동북아의 공동발전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를 위해 중국, 러시아 등 주변국과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동북아에서 국제 다자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공동연구를 제안했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