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분석] 드루킹-김경수 게이트, 靑 특검이 필요한 이유
[심층분석] 드루킹-김경수 게이트, 靑 특검이 필요한 이유
  • 조형곤 뉴미디어비평가·전 EBS 이사
  • 승인 2019.03.14 10: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익범 특검과 성창호 판사는 꼬리만 자르고 몸통은 건들지 않았다

허익범 특검과 성창호 판사는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의 꼬리만 자르고 몸통은 건들지 않았다. 142만 건의 댓글조작, 1억 번의 클릭 조작이 김경수와 김동원(드루킹)에 의한 댓글 여론조작 사건이다. 드루킹이 조작한 댓글의 개수 142만 개 중 김경수와 공모한 것은 118만 건, 신문기사의 건수는 8만 1000건, 이 중에 대선 전에만 1만 9000건의 신문기사에 달린 댓글을 조작했다.

1억이라는 숫자, 142만 댓글 중에 118만 개, 다시 8만 건의 신문기사와 대선 전에만 1만 9000건 등 가늠하기 힘든 숫자들이 많다. 따라서 이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도 어렵다. 드루킹 사건은 완벽한 여론조작이다. 댓글은 댓글로 끝나지 않고 국민의 판단기준으로 작용했고, 오히려 기사의 내용보다 댓글을 더 신뢰한다는 국민도 30%나 되었다.

김경수와 김동원이 공모한 드루킹 여론조작은 결국 지난 대선의 정당성까지 흔드는 결과를 초래했다.

30대의 36.8%는 기사 내용보다 댓글을 더 신뢰한다고 했다. 그렇다고 나머지 60%가 댓글을 믿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다. 80%의 사람들이 댓글을 보고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판단했던 것이다. 그러니까 댓글은 명절 민심이라 할 수 있었고 와글와글 시장 민심, 정치인과 정당을 판단하는 데 아주 중요한 기준이었다.

2018년 1월 대통령의 연두기자회견장에서도 댓글이 화두가 되었다. 박정엽 조선일보 기자는 청와대의 정책을 비판하는 기사를 쓰면 악성댓글이 많아 기자들이 힘들어 한다고 했다.

김경수와 공모한 김동원(드루킹)은 142만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했다. 표현의 자유는 정치적 기본권의 바탕을 이루는 것으로 헌법이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국민 기본권이다. 이번 드루킹 여론조작 사태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서 전무후무한 민주주의 살해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신문기사가 언론사와 기자에 의한 일방통행식 정보 전달이라면 댓글은 독자와 기자간, 독자와 독자간, 독자와 국민간에 주고받는 쌍방향 의사소통 수단이다.

정치인과 정당들은 댓글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안다. 이번 드루킹 여론조작은 민심을 조작한 것이고, 조작된 민심은 다시 국민여론으로 포장되고 선거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아직 많은 국민들이 드루킹의 댓글 여론조작에 대해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5일 국회에서 김경수 드루킹 게이트 진상규면 특별위원회를 열고 정부여당에 맹공을 퍼부었다.
자유한국당은 5일 국회에서 김경수 드루킹 게이트 진상규면 특별위원회를 열고 정부여당에 맹공을 퍼부었다.

2017 대선, 베스트댓글이 조작되었다!

네이버 댓글의 순공감순 정렬 방법은 김경수와 김동원(드루킹)의 먹잇감이었다. 순공감순 정렬 이전에는 호감순이 있었고, 이 두 정렬 방법에 의해 베스트 댓글 일명 ‘베댓’이 만들어졌다. 베스트 댓글은 순공감순 정렬방법상 맨 위에 올라 신문기사를 읽은 네티즌 70%가 읽고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슈퍼스타 K 방식의 인기투표에서 1등을 한 셈이다. ‘순공감순’이란 공감 수에서 비공감 수를 뺀 것으로 이 숫자가 큰 순서대로 댓글이 배치되는 댓글 정렬 방법이다.

그런데 한번 베스트 댓글에 오르면 좀처럼 바뀌지 않는다. 왜냐하면 네티즌들은 처음으로 보이는 댓글에 혹은 첫 화면에 노출된 댓글에 ‘공감’과 ‘비공감’을 클릭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네티즌들은 남의 의견에 ‘싫어요’를 뜻하는 비공감에 클릭하기 보다는 ‘좋아요’, 즉 공감을 선호하는 특성 때문에 누군가의 조작이 있지 않는 한 영원히 베스트 댓글로 남게 된다.

한편 드루킹이 점찍어준 댓글 혹은 김경수가 URL주소를 보내 조작될 댓글의 좌표만 찍어주면 나머지는 컴퓨터의 매크로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처리한다. 약 50~70회의 클릭 조작을 하는 데 불과 10초도 안 걸린다. 그렇게 베스트댓글이 되면 30만~50만의 네티즌이 그 신문기사를 읽고 그 중 70%가 댓글까지 읽게 되니, 신문사를 차려 기자를 고용하고 기사를 쓰는 것보다 천분의 일 아니 만분의 일, 아니 비교할 수 없는 적은 노력으로 언론의 역할을 해버렸던 것이다.

댓글조작이 여론조작, 조작된 여론은 민심을 흔들고, 결국 표심까지 흔들어

142만 개의 댓글을 473일간 조작했다. 나눠보면 하루에 3002개의 댓글을 조작한 것이다. 네이버는 랭킹뉴스 안에 정치, 경제, 사회, IT, 생활, 세계, 포토, TV 등 7개의 범주로 나눠 각 범주당 30개의 댓글 많은 뉴스를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 드루킹이 주로 댓글을 조작하는 범주는 정치, 경제, 사회 등의 뉴스에 집중된다.

하루에 90개의 뉴스와 뉴스마다 30개의 댓글을 조작했다고 보면 된다. 보통 ‘더보기’를 클릭하지 않고 볼 수 있는 댓글의 수는 20개, 따라서 드루킹은 네이버의 정치, 경제, 사회 뉴스에 달린 첫 화면 20개 및 다음 화면까지도 조작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정도면 네티즌이 봤던 거의 대부분이 조작된 것이라고 할 수 있는 엄청난 양이다. 그런가 하면 ‘접기요청’ 기능은 네티즌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으로 매우 불순한 의도를 갖고 있는 댓글 정책이다. 댓글을 읽는 사람이 보기 싫을 때 ‘접기요청’을 통해 더 이상 내 화면에 댓글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그런데 일정수의 네티즌이 ‘접기요청’을 한 댓글은 자동으로 접혀져 그 후로는 모든 네티즌이 볼 수 없게 된다. 물론 내용보기를 클릭하면 다시 펼쳐지지만 네티즌 대부분은 그러한 수고까지 하면서 접어놓은 댓글을 보려 하지 않는다. 그것 말고도 볼 것이 많기 때문이다.

드루킹은 공감 클릭으로 댓글의 우선순위를 바꾸는 일에 주력하면서 특정 댓글에 대해서는 접기요청으로 댓글이 보이지 않도록 조작했다. 그렇게 희생당한(숨겨진) 댓글, 그렇게 조작해서 우선순위가 조정된 댓글이 142만 개나 된다. 이렇게 조작하기 위해 클릭한 횟수가 1억 번이라고 한다. 댓글의 우선순위를 조작해 특정 성향의 글을 베스트댓글로 만드는 것, 그리고 접기요청을 조작해 특정 댓글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은 중대한 여론조작 범죄이며 댓글을 쓴 개개인에게는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 사건이다. 그래서 민주주의 살해 사건으로 이름을 붙인 것이다. 이제 댓글조작이 왜 여론조작이 되는지, 그리고 영국의 권리장전 이후 민주주의 최대의 집단학살이라 주장하는지 살펴보겠다.

우리 국민의 20%는 댓글을 한 번 이상 써봤다. 댓글을 써본 사람 중에 30%는 댓글을 두 개 이상 달아봤고 나머지인 70%는 딱 한 번만 댓글을 썼다. 그것은 빅데이터 통계로 입증 가능하다. 필자는 지난 1월 목포 투기 권력비리 손혜원 게이트가 터졌을 때 관련 댓글 19만 5532개를 모아서 분석해 봤다. 그 결과 댓글을 처음 달아본 비율은 68.2%였고, 31.8%는 두 개 이상의 댓글을 달아 네이버 아이디 뒤에 ‘댓글이력’을 볼 수 있는 ‘댓글모음’ 꼬리표가 붙어 있었다. 목포 투기 권력비리 손혜원 게이트의 댓글 20만 개를 분석한 결과 댓글러 혹은 댓글에 공감이나 비공감을 표시한 87%가 손혜원을 투기꾼이라 생각했으며 최순실과 비교했고 영부인 김정숙의 친구로서 권력형 비리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댓글로 파악한 여론이다.

인터넷 뉴스를 보고 댓글을 작성한다는 국민은 21.1%, 댓글을 읽고 공감이나 비공감에 표시한다는 국민은 30.9%, 그리고 국민 70.2%가 댓글을 읽고 있다고 답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의 통계자료를 인용해 발표한 포털사이트 뉴스 댓글이 사회 여론 형성에 끼치는 영향력은 81.6%에 달했다. 뉴스를 접해본 만 19~59세 스마트폰 사용자 1000명의 통계이다.

그 뿐 아니다. 언론인들이 들으면 대성통곡할 일인데, 우리 국민 30%는 포털 사이트에서 뉴스기사보다 댓글을 더 신뢰한다고 응답했다. 30대의 36.8%는 기사 내용보다 댓글을 더 신뢰하고 있다. 댓글을 읽는 이유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서’라고 84%가 답했다. 결국 댓글은 우리 국민의 여론 형성에 아주 크게 기여하고 있었던 것이다. 학계에서는 이를 댓글 저널리즘으로 부른다. 뉴스 기사가 일방적 통로라면 댓글은 쌍방향으로 이것이 진정한 여론이라는 의견도 상당하다.

지난 2012년 대선에서 문재인 캠프의 SNS지원단 단장과 SNS기동대 대장은 불법사조직을 운영해 공직선거법을 위반한 혐의로 벌금 90만 원에 처해졌다. 2012년 당시 SNS지원단장이었던 조한기는 대선 당시의 불법 사조직 운영이라는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2014년 벌금 90만 원의 최종 판결을 받았다. 그리고 그 해 서산태안에서 조한기는 국회의원 재보선 선거에 출마하고 문재인은 그의 후원회장을 맡았다. 그리고 다시 2017년 대선에서 조한기는 문재인 캠프의 SNS팀장으로 임명되었다.

조형곤 뉴미디어비평가·전 EBS 이사

김경수는 몸통인가 깃털인가

대통령 당선 이후 조한기는 청와대 의전비서관을 거쳐 지금은 실세 중의 실세인 청와대 제1부속실장으로 있다. 문고리 3인방을 연상케 한다. 이쯤 되면 김경수 지사는 오히려 깃털이다.

또한 2012년 대선에서 문재인 캠프의 불법사조직이었던 SNS지원단 조한기 단장 밑에 있는 ‘대응 2팀’에는 송모 씨가 포털의 댓글 관리를 맡았다. 그 송모 씨는 김경수 의원의 보좌관이 되었다. 그리고 문재인 후보의 부인인 김정숙 여사는 경선이 끝난 후 ‘경인선에 가자’고 외쳤다. 경인선은 김동원의 경공모(경제적 공진화 모임)의 다른 이름 ‘경제도 사람이 먼저다’의 약자이다.

김경수와 김동원 그리고 조한기와 송모 씨는 댓글이 곧 여론임을 꿰뚫고 있었다. 기사 하나당 수 천 개의 댓글이 달려도 댓글 정렬방법 ‘순공감순’에 의해 상위 20개까지만 조작하면 댓글 전체를 조작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댓글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이를 확실하게 뒷받침한다. ‘더보기’를 클릭하지 않아도 볼 수 있는 20개 이하의 댓글만 읽는다고 답한 비율이 90%를 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김경수 지휘 하에 473일간 8840만 개의 공감 클릭, 142만 개의 댓글조작은 네이버 뉴스가 제공하는 ‘댓글 많은 뉴스 랭킹 30’ 전체 기사에서 매일 매일 순공감순 상위 20개의 댓글을 다 조작한 것과 비슷한 수치이다.

이렇듯 김경수, 김동원이 공모한 네이버 댓글 조작은 완벽한 여론조작이며, 여론조작에 의해 민심이 조작되고, 그 민심으로 투표까지 이어졌다면 이는 부정 대선이나 다름없다. 문재인 후보가 이를 모를 리 없기 때문이다. 문재인 후보가 이를 알았다면 지난 대선은 후보의 공모에 의한 부정 대선이 된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