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분석] 북한 인민군(人民軍)의 민족대학살 전쟁
[심층분석] 북한 인민군(人民軍)의 민족대학살 전쟁
  • 김광동 미래한국 편집위원.나라정책연구원장
  • 승인 2019.06.19 1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25는 공산 대제국(共産大帝國)을 만든 소련 스탈린이 제국 확장을 목표로 한 제국주의 전쟁이었다. 일본 패망과 동아시아의 힘의 공백을 계기 삼아 스탈린은 일본이 지배하던 전 지역을 공산전체주의로 재편하고자 했다. 먼저 만주지역에 고강(高岡) 인민민주주의정부를 만들어 모택동군을 지원해 장개석 국민당 정부가 통치하던 중국을 공산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마찬가지로 한반도 북부에는 김일성(金日成) 인민민주주의정부를 만들어 박헌영과 김원봉을 흡수시킨 뒤 한민족 최초의 근대적 자유민주체제였던 이승만 정부를 붕괴시키고 한반도 전역을 스탈린 전체주의로 편입시키고자 했다.

전체주의는 폭력을 기반으로 성립되고 유지되는 체제이다. 히틀러든, 스탈린이든 혹은 모택동이든, 김일성이든 전체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재산권을 부정하고 사상적 세뇌를 기본으로 체제이기에 통치의 본질은 야만적 폭력, 그 자체였다. 물론 현재 김정은 체제의 폭력과 야만적 처형에 의한 통치도 마찬가지이다.

스탈린 제국의 확장전쟁이던 6·25에서도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등 소련과 국경을 마주했거나 주변에 존재했던 전 지역에서 펼쳐진 야만적 폭력에 의한 전체주의의 구축과 궤를 같이 했다. 중국 인민민주주의의 인민군이든, 북한 인민민주주의의 인민군이든, 그 인민군(人民軍)은 공산 제국주의의 침략전쟁에 동원되어 인민 대학살과 민족 말살의 주역을 담당했다.
 

야월교회 순교기념관에 전시된 당시 학살 희생자 65명의 명패
야월교회 순교기념관에 전시된 당시 학살 희생자 65명의 명패

공산주의자들의 처참한 민간인 학살

6·25 희생자를 보면 한국 국군 사망자만 41만 명, 그 외 실종자와 중부상자를 포함하면 85만 명에 달하는 피해자가 발생했다. 또한 미군 사망 3만 4000명을 포함 유엔 참전국 군인 사망 및 실종자와 중부상자 11만 명을 합한다면 한국과 미국 등 자유주의국의 희생자만도 99만 명을 넘는다. 물론 북한 공산군과 중국의 인민지원군의 희생자도 142만 명 전후가 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공산주의 침략전쟁에 따른 전체 군인 희생자만으로도 240만 명을 넘어 6·25는 인류 역사에서 희생자가 많았던 세계 제7대 전쟁으로 기록된다.

더 처참했던 것은 공산주의자에 의한 처참하고도 무찰별적인 학살이었다. 군인과 달리 양민 사망과 희생은 전쟁의 혼란과 행정 미비로 인하여 정확하게 집계되지 못했다. 현재까지 파악된 6·25전쟁 중 한국 민간인 사망자는 37만 4000명이다. 행방불명 및 납치피해자 38만 9000명을 포함하면 76만 명이 피살되었거나 생명을 여부를 알 수 없는 희생자로 남아 있다.

마찬가지로 북한에서도 150만 명 전후의 민간인이 사망 또는 행방불명되었거나 중부상자 당한 것으로 파악된다. 행방불명자 중 상당수는 월남하여 한국에서 살고 있을 수도 있다. 어쨌든 약 240만 명의 군인 희생과 약 249만 명의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함에 따라 공산주의 침략전쟁 3년에 따른 희생자는 452만 명이 초래된 것으로 알 수 있듯이 6·25는 공산주의에 의한 학살전쟁, 그 자체였다.

양민 학살은 크게 세단계로 나눠서 진행되었다. 첫째는 1950년 6월 25일부터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때까지 침략과 점령이 전개되던 시기의 광범위한 학살이다. 그 이후의 학살과 달리 선별적 학살이 전개되었다. 광란적 대규모 학살은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성공 이후 낙동강전선에서 북으로 후퇴하던 공산군에 의해 펼쳐진 학살이다.

민족 최대의 명절인 1950년 추석일(9.26)부터 5일간 공산주의자들이 광기적으로 벌인 학살은 한민족이나 인류가 경험해야 했던 최악의 대학살(genocide)였다. 마지막은 후퇴하지 못한 정규 공산군 및 빨치산 무장대들이 비정규전 및 보복행위로 벌인 보복적 학살이 그것이다. 충남 예산 지역의 예로만 보면 9월 15~30일의 16일 동안 143명을 학살했는데, 그 이후 9월 26~29일 단 4일에는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110명을 학살했다.

물론 공산군의 학살 대상은 명백했다. 공산주의자들이 ‘적’ 혹은 ‘반동’으로 규정한 대한민국 건국과 자유민주질서를 지켜내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던 인사들이었다. 그 예로 수원과 청주 지역 피살자의 예를 보면 일관되게 나타난다. 대부분 공무원과 경찰 및 그 가족이거나 대한청년단 활동자 혹은 부녀회 활동자들이었다. 청주 둥 주변 지역 피살자 127명을 보면 공무원 및 공무협력자가 14명, 대한청년단과 국민회 및 부녀회 소속 101명 등이 학살 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인민군은 무기를 들지 않는 비전투자인 민간인임에도 공무 및 치안과 같은 공적 업무를 담당하거나 협력자들에 대한 무차별 대량학살을 감행했던 것이다.

또 다른 집중적 학살 피해자는 기독교(基督敎)인이었다. 인민군은 처형 대상에서부터 기독교 및 천주교인을 집중 대상으로 명시했었다. 황해 해주 및 함남 함흥 등의 숙청 지령문에 열거된 대상은 ‘반동분자’와 기독교 목사, 장로 및 천주교 신부, 수녀와 월남자 가족 등으로 되어 있다. 실제로 전남 영광군은 피살자가 무려 2만 5000명이 넘는 최대 피해 지역이었는데 영광은 전남에서 가장 기독교 인구가 많았던 곳이기도 했다.

영광에는 1903년부터 남장로교 선교사들 활동이 활발했고 대전리교회(1903), 신천리교회(1904), 무녕리교회(1905), 야월리교회(1907)와 옥슬리(염산)교회 등에 의해 기독교가 가장 활발했던 대표 지역이었는데 최대 학살 희생지역이 되었다.
 

인민군의 기독교인들 집단 학살

영광 야월교회는 교인 전원인 65명이 공산주의자에 의해 학살피해를 입었고, 염산교회는 교인 거의 대부분에 77명이 학살당했다. 학살 방식도 기독교 신앙인 집안 전원을 학살하는 방식이어서 야월교회를 이끌던 목회자 김성종 집안은 며느리, 손녀 등 33명, 최판섭 집사 집안 11명, 독실했던 정일성과 김병환 집안은 각각 13명과 7명이 학살당했다. 그 외 영암읍 교회 26명, 상월교회 나옥매 전도사 등 30명도 집단 학살 피해를 당했다.

충남 논산은 미국 남장로교 선교회 선교사들에 의해 일찍부터 기독교가 전파된 지역이었는데 1933년 설립된 병촌교회가 가장 대규모 학살 피해를 입었다. 후퇴하던 인민군은 9월 27일 및 28일 단 이틀 동안 병촌교회에 다니던 19세대, 총 66명(남 27명, 여 39명)을 포함 총 120여 명을 집단 처형하고 북으로 넘어갔다.

김주옥 집사를 포함 가족 전체가 학살된 집안이 5곳에 달했고, 학생 및 어린이가 31명을 차지했다. 갓난아이들도 5명에 이르렀을 만큼 기독교인에 대한 무차별 학살은 잔혹했다. 손양원, 박명호 목사 처형 등 목회자 학살 피해자가 400명으로 집계된 바도 있다. 가톨릭에서도 교구장 1명, 신부 30명, 소녀 7명 등과 외국인 성직자 98명 등 교역자만 150명이 피살되었다.

학살 외에 납치된 목회자는 남궁택과 양주삼 등 신학자 및 목사를 포함해 7500명 규모로 확인된다. 납치 교역자로는 장로교가 177명, 감리교가 44명, 성결교가 11명, 성공회 6명 등 371명으로 파악된다. 전쟁에 따른 교회의 피해는 장로교가 634개 교회, 감리교가 250개 교회, 성결교가 104개 교회, 구세군이 4개 교회에 달한다. 그런 면에서 한반도에서의 6·25전쟁은 공산군과 유엔 및 국군간의 대결이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공산주의의 침략전쟁에 맞선 자유주의와 기독교인들에 의한 방어전쟁이자 문명수호 전쟁이기도 했다.

인민군의 학살은 남과 여, 성인과 어린이를 가리지 않은 민족에 대한 광기(狂氣)적이고도 무차별적 학살이었다. 목포 연동의 미곡 창고에서 벌인 우익인사 300명에 대한 집단학살이나, 목표 석현동에서의 50명에 대한 처형도 무차별적 집단학살이었다. 고창 동호리 부둣가에서 10월 1일 15명과 고창 고라리 16명 등 총 31명의 학살 피해를 보면 남 16명, 여 15명 등 남녀간 차이가 없다.
 

김광동 미래한국 편집위원.나라정책연구원장
김광동 미래한국 편집위원.나라정책연구원장

거론되지 않는 북한군의 대량학살 조사 시작해야

성인은 11명이었고 미성년이 20명, 특히 9세 이하 아동이 전체의 절반에 달하는 14명이었다. 고창 칠암리와 월림리 총 70명의 학살 피해도 남 44명, 여 26명이고 미성년 28명으로 무차별한 집단학살이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전남 영광에서는 전체 학살 피해자 중 여성이 전체의 27%인 1만 6000여 명에 달했다.

전체주의(totalitaria)는 적(敵)을 설정해놓고 적에 대한 대중 분노를 만들어 폭력과 학살을 통해 사회를 독점적으로 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대인에 대한 히틀러의 학살이나 소련 공산주의자들의 학살, 중국 공산당과 홍위병의 학살도 모두 동일한 것이다. 특히 공산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재산을 빼앗아 우상숭배된 최고지배자가 장악하도록 만드는 ‘자유뺏기’와 ‘재산뺏기’ 과정이었기에 폭력을 본질로 하고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와 전체주의질서를 거부하는 인간에 대해서는 무참한 숙청과 학살을 동반했다.

결국 김일성 정권은 소련 스탈린 및 중국 모택동 체제라는 전체주의 제국을 만들고 지키기 위해 한민족 전체를 반민족(反民族)적 대량학살로 내몰았다. 1970년대 캄보디아 폴 포트 공산 정권의 광기적 학살과 동일했다. 독일 파시스트의 대학살 사건인 ‘수정의 밤’(Kristallnacht)이나 폴란드에서 소련 공산군이 자행한 ‘카틴숲 대학살’사건과 한반도의 대학살도 모두 동일한 것이다.

그럼에도 한국 사회에는 공산주의에 의한 반민족적 양민 대량학살에 대한 성격 규명이 숨겨져 왔다. 거론되는 것을 금기하는 사회가 되어 있다. 1000여 명 이상 대량학살된 ‘대전교도소’와 ‘전주교도소’ 학살이나 ‘신천 대학살’조차 조명되지 않고 상황에 있다. 물론 다른 침략자인 중공군 참전과 만행도 규명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침략전쟁과 학살전쟁을 막으러 온 미군에 의한 충북 노근리 오인사격이나 국군의 보복사건 만을 부각하는 현실에 있다.

3·1운동을 막고자 일제가 저지른 800여 명 전후의 처형과 학살과 비교해보더라도 공산주의자의 민족 유린과 학살은 차원이 다르다. 학살 만행을 덮자는 것은 곧 일제 통치보다 형언할 수 없이 더 악독했고 반민족적이던 전체주의가 북한에 계속되는 상황을 덮고, 나아가 그 체제를 종식시켜야 할 민족 과제를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