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코로나 시대로 2030세대 '등린이'들이 가파르게 증가했다.
전국의 148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트랭글GPS’의 운영사 ㈜비글은 지난 2019년 대비, 2030연령층의 회원증가율이 350%를 넘었고 주간 활동량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2030세대 등린이들의 가장 큰 특징은 산행 시간이 중년층에 비해 짧고, 날씨와 조망권에 민감하다는 점이다. 평균 산행시간이 5시간을 넘지 않고 산행 중 평균 48분의 휴식을 취하며, 정상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23분을 넘지 않아 중년층에 비해 짧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93%이상이 맑은 날씨에 산행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산은 지하철과 인접한 등산로를 이용하여 왕복 6.6km 이내의 조망권이 우수한 바위 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분석은 트랭글 회원 중 2020.01.01~2020.07.30 사이 활동한 1980년~1999년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서울과 경기지역의 산을 이용한 41,129명에 대한 126,261개의 GPS트레킹 데이터 분석을 통한 결과다.

㈜비글(대표이사 장치국) 트레킹빅데이터센터는 이러한 결과에 대한 주 요인으로, 전국 대학교의 등교일수가 줄어 2030세대의 평일 시간적인 여유가 많았던 상황과 코로나19로 인해 실내운동에 대한 부담, 여행자제와 함께, 에슬레져 스타일의 트레킹 사진이 SNS를 중심으로 공유가 이루어진 것이 등린이 증가의 이유로 분석했다.
㈜비글의 안옥연 부사장은 "향후 트랭글의 운동데이터와 인바디의 체성분데이터, 케이웨더의 환경데이터를 융합하여 코로나 이후 개인의 면역력증진과 건강관리를 위한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운동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비글은 전국의 걷기, 뛰기 운동코스와 인기둘레길, 등산로, 자전거코스에 대한 이용패턴, 코스혼잡도를 분석할 수 있는 트레킹 빅데이터(3,000만개의 사용자 운동코스와 80억개의 위치기반 데이터, 전국 통신감도데이터)를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트랭글, 올댓스탬프를 통해 매일 6만km의 운동, 여행동선 데이터를 생산하여 2019년부터 산림빅데이터플랫폼의 트레킹빅데이터센터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