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뷰] 핵위협 北의 아킬레스건은 북한인권
[글로벌뷰] 핵위협 北의 아킬레스건은 북한인권
  • 도널드 커크  미래한국 편집위원·전 뉴욕타임스 특파원
  • 승인 2022.11.02 03: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iden, Yoon Need to Revive the Campaign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While Kim Threatens His Enemies with Nukes and Missiles and Executes His Foes at Home

워싱턴=미국 고위관리들은 북한인권 문제에 관해 훌륭한 발언을 하지만 북한의 정권의 무모한 행동에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는가? 바이든 미 대통령과 미 국무부는 김정은이 핵탄두와 미사일 협상에 나와야 한다는 요구를 되풀이하면서 북한인권 문제를 후순위로 미뤘다. 김정은은 자신이 위협해온 것처럼 소형 전술 핵탄두 미사일 발사하려 하기에 미국의 끊임없는 비핵화 요구를 한순간도 고려하지 않을 것이다.

북한이 진실이든 거짓이든, 사실이든 상상이든, 북한 주민들의 경미한 범죄에 대한 처형과 고문 혐의를 계속 부인하겠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왜 북한인권 문제를 크게 문제 삼지 않는가? 사람들의 반복적인 문제 제기만으로는 북한이 움직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북한 지도부가 유엔 인권이사회와 포럼, 신문 사설, 성명에서 이 모든 문제 제기에 대해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북한 주민들은 북한 체제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억압과 잔인함 속에도 살아남아 독재정권의 참혹함을 폭로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북한 정권은 극도로 민감하다.

보수적인 윤석열 대통령은 5년 만에 처음으로 한미 합동군사훈련을 지지하면서, 대통령 재임기간 동안 북한과 좋은 관계를 구애하며 인권을 무시한 좌파 문재인 전 대통령의 정책을 뒤집기 위해 많은 일을 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처럼 윤석열 정부도 북한인권 문제를 가망이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며 다소 포기한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마치 미국과 한국의 정책 입안자들 모두 북한인권에 대한 문제 제기가 북한 주민들을 화나게 할 뿐 아무런 소용이 없을 것이라고 믿는 것과 같다.

그러나 그 주제가 완전히 사장된 것은 아니다. 2004년 미 의회는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서명한 북한인권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률은 정기적으로 갱신된다. 의회는 이 문제를 11월 8일 중간선거 이후로 미루고 11월 의회가 소집될 때 북한인권법을 갱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투표를 연기한 이유는 북한인권법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선거구에서 한국계 미국인 유권자들의 표를 얻기 위해 이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한국은 윤석열 정부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4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인권 침해를 비판하는 유엔 결의안에 서명했다.
한국은 윤석열 정부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4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인권 침해를 비판하는 유엔 결의안에 서명했다.

윤석열 정부, 북한인권에 관심 증대

북한인권법이 의회를 통과하는 동안 바이든 미 대통령은 여전히 북한인권대사를 임명에 신경 쓰지 않고 있다. 윤 대통령은 문 전 대통령이 김정은을 화나게 할 것을 우려해 의도적으로 비워둔 북한인권대사에 이신화 씨를 임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회의 과반수 의석인 민주당은 보수주의자인 박근혜의 축출과 투옥 이전에 통과된 한국의 북한인권법에 의해 의무화된 북한인권재단 출범을 막고 있다.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윤 정부가 인권대사를 임명했고 한국은 4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인권 침해를 비판하는 유엔 결의안에 서명했다. 이것은 문 정부가 북한의 인권 위반을 경시했던 것에서 환영할 만한 변화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클링너 선임연구원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워싱턴이 북한인권 문제에 대해 무관심한 것은 다소 이해가 안 된다며 “인권이 포괄적인 북한 전략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 이 주제가 무시된 후 인권을 정책의 중요한 요소로 되돌리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다만 클링너 선임연구원은 지금까지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인권 침해를 부각시키는 데 성과가 미흡했다. 누군가 발탁됐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아직 오래 공석이 된 북한인권특사 자리를 메우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 외곽지역에 본부를 두고 있는 디펜스포럼 재단 설립자이자 대표인 수잔 숄티는 여전히 북한인권 운동에 있어 미국과 한국 정부가 취약한 부분에 대해 더 열정적이다. 미국은 “말은 많지만 행동은 없다”고 불평했다.

수잔 숄티는 지난 9월 30일 북한자유주간 개막식에서 미국이 북한의 끔찍한 인권 상황을 조명하고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협력하는 데 전념해서 책임감을 높여 북한 내부 및 외부로의 자유로운 정보 흐름을 확대하겠다는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의 성명에 대해 기뻐했다. 

미국, 북한인권 문제에 발언은 하지만 행동은 미흡

그러나 이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숄티는 “바이든 대통령과 미국민들은 대통령직의 핵심 주제로 인권에 대해 좋은 말은 하지만 실제 행동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숄티는 “우리 앞에 놓인 가장 시급한 세 가지 문제는 중국에 있는 난민들을 구하고, 그들의 의사에 반해 북한에 억류되어 있는 사람들의 석방을 촉구하며, 북한에 가장 성공적인 정보 캠페인을 재개하는 것”이라고 열정적인 연설을 했다. 

숄티는 2020년 초 우한에서 처음으로 코로나가 발생한 뒤 김정은이 국경을 폐쇄해 중국이 억류하고 있지만 아직 북한으로 돌려보내지 못하고 있는 수백 명의 남녀노소 북한 주민을 살려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탈북자들이 타이레놀과 반 김정은 전단을 가득 실은 풍선을 날려 보내도록 적극적으로 투쟁하고 있다. 경찰은 전단 살포를 저지하고 탈북자 박상학 씨를 풍선 살포 혐의로 구금했다. 숄티는 여전히 VOA와 BBC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된다고 주장하며 한국 밖에서 매일 방송되는 라디오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숄티는 “윤 대통령은 더 많은 것을 할 필요가 있다. 대북전단금지법을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문재인 정부가 북한 정권을 의식해 이 법을 만들어 김정은은 성공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북한 사람들을 다시 어둠 속으로 몰아넣었기에 바이든 미 대통령과 윤 대통령이 억압받는 북한 주민들에게 빛을 줘야 한다고 믿고 있다.

번역 미래한국 편집부 


WASHINGTON=Americans in high places make great statements about human rights in North Korea, but what are they really doing to combat the abuses of the regime? The answer is, beyond nice talk, President Biden and the State Department have relegated North Korean human rights to a low priority while repeating familiar demands that Kim Jong-un enter negotiations on his nuclear warheads and missiles. It’s blatantly obvious by now that Kim, if he has no real intention of firing a missile carrying a small tactical warhead, as he has been threatening to do, is not going to consider for one moment the perpetual American demands for denuclearization.

So why can’t The Biden administration make a huge issue of North Korea’s record on human rights even though North Korea will go on denying all the charges of execution and torture for the flimsiest of offenses, true or false, real or imagined? The answer in part that everyone knows repetition of the complaints will not move North Korea. We know, however, that the North Korean leadership is extremely sensitive to all these complaints, going to great lengths to deny them in meetings of the UN Human Rights Council and other forums, in editorials and statements. From this response, it’s clear the North Koreans are extremely sensitive to the issue, knowing enemies of the regime are exposing the horrors of a dictatorship that survives on repression and cruelty.

For that matter, why is South Korea’s conservative President Yoon Suk-yeol, having endorsed joint military exercises with the Americans for the first time in more than five years, doing more to reverse the policies of his leftist predecessor, Moon Jae-in, who ignored human rights during his presidency while courting Kim Jong-un in hopes finally of inter-Korean relationship. Like the Biden administration in Washington, the Yoon government in Seoul appears to have more or less given up on human rights as a lost cause. It’s as though both American and South Korean policy-makers think there’s no point carrying on incessantly about North Korean human rights when they believe the whole topic will only infuriate the North Koreans to no avail.

The subject, however, is not totally dead. The American Congress in 2004 passed a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signed by President George W. Bush. The act comes up for renewal periodically. Congress is expected to renew it when it convenes in November, having put off the topic until after the congressional elections on November 8. The reason for postponing the vote was to deny proponents of the act the chance to brag about it for the benefit of Korean-American voters in their election district.

While the act sails through Congress, Biden still has not bothered to appoint an ambassador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Yoon has named Lee Shin-wha as the South Korean ambassador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after Moon had deliberately left the post vacant for fear of upsetting Kim Jong-un. Even so, Moon’s adherents in the National Assembly, still enjoying a majority of the seats, are doing their best to undermine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Foundation as mandated by South Korea’s Human Rights Act, passed in 2016 before the ouster and jailing of the conservative Park Geun-hye.

“To its credit, the Yoon administration appointed a human rights ambassador and, for the first time in four years, South Korea signed onto a UN resolution criticizing North Korean human rights violations,” said Bruce Klingner, senior fellow at the Heritge Foundation. “This is a welcome change from the Moon administration’s downplaying of Pyongyang’s violations.”

To Klingner and others, however, the disinterest in the topic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in Washington is more than a little incomprehensible. “Human rights should be part of a comprehensive North Korea strategy,” Klingner told me. “The Biden administration pledged that it would return human rights to a place of prominence in its policy after the topic had been ignored during the Trump administration.” Yet so far, “The Biden administration has under-achieved on highlighting North Korean human rights violations,” Klingner observed “It has not yet filled the long vacant position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envoy, though there have been rumors someone has been selected.”

Suzanne Scholte, founder and president of the Defense Forum Foundation, headquartered in suburban Washington, is still more impassioned about the seeming weakness of both American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when it comes to crusading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ere’s a lot of talk but no action” on the part of the Americans, she complained. She did seem happy about a statement issued by Ned Price, State Department spokesman, at the opening of “North Korea Freedom Week” on September 30 in which he said the U.S. “remains committed to shining a spotlight on the egregious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DPRK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working with allies and partners to promote accountability and increase the free flow of information into out of, and within the DPRK.”

Those noble words, though, were nothing new.  Biden and his people “talk about human rights as the central part of his presidency,” said Scholte. “They’ve been great on the language but no real action.”

Scholte, in her most recent visit to South Korea, delivered an impassioned speech in which she said “the three most urgent matters before us are saving the refugees in China, calling for the release of those being held against their will in North Korea, and relaunching what had been a most successful information campaign to North Korea.” Scholte is calling for China to show some mercy on hundreds of men, women and children whom China is holding but has yet to send back to North Korea thanks to the Kim’s closing the borders in early 2020 after the first COVID outbreak was reported in Wuhan, and she actively battled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send balloons laden with Tylenol tablets and anti-Kim leaflets. The police, however, blocked a leaflet launch and briefly held the fiery defector, Park Sang-hak, in charge of the balloon. She still gets through to North Korea by daily radio programs broadcast from outside Korea that she claims reach as many people as VOA and BBC.
“Yoon needs to do more,” said Scholte. “They’ve got to overturn the leaflet law” - enacted at the behest of the previous president, Moon, as he sought to appease Kim Jong-un. Kim “has been incredibly successful,” she said. “He put North Koreans back in the dark.” Now, she believes, Biden in Washington and Yoon in Seoul together have the chance to bring light to an oppressed people after Moon “gutted the campaigns led by the defectors.”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