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 우세는 지속될 것인가?
서양의 우세는 지속될 것인가?
  • 미래한국
  • 승인 2010.01.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니알 퍼거슨 하버드대 역사학 교수
파이낸셜타임스 12/27

최근 10년 중국의 사회 경제 문화 부문의 놀라운 발전으로 ‘서양의 우세 500년’이 끝나는  것이 아니냐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강대국이 될 수 있는 조건은 현대사에서 가장 흥미 있는 사안이다. 서양문명은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에 뒤이어 과학혁명에서 산업혁명으로, 민주주의에서 소비사회로, 제국주의에서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로 변천돼 왔다. 1550년경부터 인구도 많지 않고 문명도 분명히 뒤떨어진 서양이 인구도 많고 문명이 훨씬 발달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부, 즉 중동과 아시아를 포함해 전세계를 지배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제 이 서양문명에 의한 세계 지배는 끝나는 것인가? 이 문제는 지난 10년 동안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오늘날 미국이라는 제국이 우세를 보이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3개의 치명적 결점이 밝혀졌다. 즉, ①인력 부족(이라크 주둔 지상군 병력이 충분치 못했다.) ②주의력 결핍(정복한 국가를 장기간 점령할 사회적 열망이 충분치 못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③재정적자(투자 대비 저축이 충분치 못하고, 공공 지출 대비 세금부과가 충분치 못했다.)

2004년에 나는 미국이 경상수지의 불균형을 안정시키기 위해 지각도 없이 동아시아의 자본에 의존하게 되었음을 경고한 바 있다. ‘아메리카 제국’의 실추와 쇠퇴는 테러분자나 이들을 지원하는 불량국가가 아닌 국내 재정위기 때문이다.

미국은 경상수지 적자가 확대되자 아시아의 중앙은행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는데 여기서 중국의 비중이 가장 크다. 모리츠 슈라릭 베를린 자유대학 교수와 나는 요즘 세계 경제의 견인차 G2 즉, 중국과 미국을 일컫는 ‘차이메리카’(Chimerica)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앞으로 닥쳐 올 세계적 금융위기 해결의 열쇠를 찾으려고 한다. 

‘아메리카 제국’ 우세의 환상은 지난 10년간 두 번씩이나 깨졌다. 첫번째는 이라크와 아프카니스탄에서 발생했다. 이는 미국의 군사력의 한계 뿐 아니라 더 넓은 중동지역에 민주주의를 보급하겠다는 네오콘(신보수주의자)의 의도가 순진함을 드러냈다. 두번째는 2007년 불량주택담보(서브 프라임) 위기의 확대로, 2008년에는 금융경색으로, 2009년에는 결국 대불황으로 악화되고 말았다.

선진 서양 세계가 두 번째 대공황 벼랑 끝에 매달려 있는 동안 중국은 지극히 효과적인 정부의 경기부양 대책과 막대한 여신 확대 덕분에 큰 타격을 받지 않고 성장이 약간 둔화됐을 뿐이었다. 최근 10년 초기에는 미국의 GDP가 중국의 8배 이상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4배에 불과하다. 전문가 예상에 의하면 중국은 20년도 안 돼 2027년에 미국을 능가할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10년 동안 중국은 독재주의 계획 자본주의로 인구 13억의 사회를 통치하는 데는 많은 문제가 있다.  

지난 500년 동안 서양이 동양보다 우월했던 데는 다음과 같은 6개의 핵심적인 이유가 있다. 즉, ①자본주의 기업, ②과학적 방법, ③사유재산과 개인의 자유에 바탕을 둔 법률과 정치제도, ④전통적인 제국주의, ④소비자 사회, 그리고 ⑤막스 웨버가 표현한 프로테스탄트의 직업윤리 그리고 ⑥자본축적이다.   

이 중, ①자본주의 기업, ②과학적 방법은 중국이 확실히 이를 복제했다. 그 외의 사항은 공자사상의 수정이론(제국주의, 소비 그리고 직업윤리)으로 채택돼 가는 과정에 있다. 오로지 ③사유재산과 개인의 자유에 바탕을 둔 서양식 법률과 정치제도는 인민 민주주의 일당독재국가에서는 태어날 징조가 별로 안 보인다. 

그러나 중국이 지속적인 번영을 달성하는 데 귀중한 민주주의가 필요할까? 다음 10년 동안에 이 문제의 해답이 나올 것이다. 그 다음엔 ‘서양의 우세’에 경쟁력 있는 대안이 있으리라는 확신을 갖기에는 아마도 다시 500년이 걸릴지 모른다.# 

정리. 정철 객원해설위원
서울대 법대 졸업
전문 경영인(삼성, 효성그룹 종합상사)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