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이후, DMZ는 변해 있었다
천안함 이후, DMZ는 변해 있었다
  • 미래한국
  • 승인 2010.06.2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로벌뷰] 도널드 커크
▲ 도라산 전망대


날씨 좋은 날 서울에서 40마일 북쪽에 위치한 도라산 전망대에서 바라보면 휴전선을 지나 북한으로 들어가는 2차선 고속도로에 차들이 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한국 기술자들과 관리자들을 실은 차와 트럭들이다. 한국군 권석호 병장은 “통행길은 현재 열려 있다”고 말했다.

미군 후원의 특별여행단을 인솔하고 있는 퇴역 미 육군 장교인 스피븐 탈프 씨는 느긋했다. 육군에서 오랜 생활을 하고 지금은 민간인으로 북한 관련 이슈를 취급하고 있는 그는 “상황이 매우 위험하면 우리는 여행하지 않을 것”이라며 “긴장이 실제로 최고조가 될 때까지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북 대치 상황에서 서해상의 긴장은 6월이 가장 첨예하다. 이 때가 게잡이 최고 시즌으로 북한이 북방한계선과 한국전쟁에서 북한군으로부터 빼앗은 서해상 5개 섬을 방어하려는 한국을 위협할 가능성이 제일 높다.

남북한 간의 우발적 충돌을 막자며 2004년에 서명한 합의를 폐기한다는 북한군의 최근 발표는 지난 3월 26일 북한의 소형잠수함이 어뢰로 한국군 천안함을 격침시킴으로써 의미가 없어졌다.

그러나 양측 어느 누구도 싸우고 싶어하지 않는다. 한국은 대북심리전을 시작하면 북한이 실제로 공격하겠다고 말하자 북한에 정치선전 삐라를 담은 풍선을 날려보내고 대형스피커로 대북방송을 하겠다는 계획을 취소했다. 남북한은 6년 전 햇볕정책이 최고조일 때 서로에 대한 비방방송을 중단했다.

북한은 다른 카드를 가지고 있다. 북한이 한국과 정면으로 부딪히면 개성공단 안의 수백 명의 한국인들을 인질로 억류할 수 있는 것이다. 600명의 군인들이 주로 형식적인 경비를 서고 있는 판문점 정전 마을 내 신성불가침의 공동경비구역(JSA)도 북한의 억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이 600명 가운데는 40명의 미군이 있는데 이들은 한 때 휴전선 경비를 섰던 대규모 미군 중 마지막으로 남은 자들이다.

하지만 무력 충돌이 발생하면 공격을 정면으로 받아야 하는 사람들은 한국인들이다. 그들의 미국인 동맹이 아니다. 미국은 한국에 2만8,500명의 미군을 주둔시키고 있다. 이들은 1개 전투보병사단과 지원부대들로 서울 북쪽에 있다. 한국에서 가장 강력한 미군은 오산공군기지에 있는 제7공군이다. 서울에 있는 주한미군 본부를 포함, 미군 대다수는 평택의 새 기지로 이전할 예정이다.

판문점은 도라산이나 인근의 3개 땅굴처럼 수년 간 필수 관광코스였다. 나는 그동안 정전 마을을 20차례 이상 방문했지만 이번에는 새로운 분위기를 느꼈다. 브리핑 끝무렵에 한 위관급 한국 장교는 보통 때와는 다르게 “긴장이 팽팽하다”며 “지시에 따라 달라”고 말했다. 여느 때처럼 우리는 남북 경계선 위에 세워져 있는 파란색 지붕의 방 한개짜리 건물로 안내되었다. 우리는 그곳에는 양측 장교들이 종종 만나는 번쩍번쩍 광이 나는 테이블 주변을 걸었다.

1998년 완공된 인상적인 암석과 콘크리트로 지어진 ‘자유의 집’ 앞에 세워진 버스로 돌아온 후 우리는 한국전 정전협정으로 석방된 양측의 전쟁포로들이 걸어서 건너온 이른바 ‘돌아오지 않는 다리’로 버스가 가지 않는다는 말을 들었다.

판문점에 오면 필수적으로 가는 이곳에 우리가 이번에 가면 혹시 북한에 붙잡힐 가능성 때문인가? 신동희 이병은 “그렇게만 지시 받았다”며 “매우 위험하다”고 말했다.

북한은 한국과의 협정들을 폐기하면서 비상경계령을 내렸다. 그러나 한국은 이 긴장이 폭발하기 전 누그러뜨리기 위해 거친 말은 완화하고 있다. 한 가지 사실은 북한이나 한국이 남북한이 자연스럽게 접촉할 수 있는 마지막 지점인 개성공단의 폐쇄를 원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최보선 한국 통일부 남북협력국장은 북한사람들이 더 열심히 일하고 있다며 희망적이었다. 그는 “그들이 더욱 헌신적이 되고 있다”며 “그것은 그들이 이 공단을 유지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번역·이상민 기자 proactive09@gmail.com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