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감염병 관리도 IT시대로 가야
국가 감염병 관리도 IT시대로 가야
  • 미래한국
  • 승인 2012.10.12 16: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감염병에 대한 사회안전망 구축은 국가경제 성장엔진보다 중요

정부가 국가적 감염병 위기 대응능력을 키우기 위해 신종플루, 슈퍼박테리아, 결핵, 인수공통감염병, AIDS, 기후변화, 생물테러 등 8대 중점분야 선정해 기술연구개발 지원을 늘리기로 결정했다. 지난 9월 7일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제27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이어 25-26일 국립보건연구원은 오송 의료행정타운에서 ‘감염성 질병 연구분야의 새로운 기술’이란 주제로 주요 감염병 국가 대응체계 구축 및 범부처 감염병 R&D 중장기 전략 추진 강화와 연구현황 정보 공유, 국제 연구협력 네트워크 구축 목적으로 국제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와 같은 국가 감염병에 대한 범부처적 체계적 대응은 신종플루로 크게 곤욕을 치르고 신종플루가 사회 문제로 뉴스를 장식하던 2009년 9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때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동년 8월에 보고된 인수공통 감염병 대응 R&D 활성화 방안을 더 범정부적으로 추진한다는 비전 하에 보건복지부, 교육과학부, 농림수산부, 지식경제부와 연대, 감염병 대응 R&D 추진단을 구성했고 감염병 국가적 위기 발생시 효율적 위기 극복을 기대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3년이 지난 지금, 정부가 국가적 감염병에 대한 범부처 위기 대응 능력을 얼마나 키웠는가에 대해 의문이 간다. 2010-2011년초 우리는 구제역과 조류독감이란 큰 홍역을 치렀고 당시 국가적 방역체계 문제점이 여러 단계에서 노출돼 구제역, 조류독감의 근본적인 과학적 대책은 요원하게 보였다.

지난 9월 25일에는 양재역 엘타워에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주최 ‘사회문제 해결형 R&D 프로젝트 추진전략’이란 제목하의 토론회가 있었고, 이 토론회에서도 재난 재해, 신종 감염병 등의 사회문제 해결하기 위해 개방형 토탈 솔루션 기획, 문제 해결형 시민참여 사업수행체계 구축 등에 입각한 제안들 있었으나 아직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진전은 없음이 확인됐다.

글로벌시대를 맞아 많은 인적, 물적 교류에 따라 국내외 감염증 발생에 대해 과거와 달리 인과관계를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파악 및 분석하지 않으면 안 된다.

WHO에 따르면 그동안 진행된 기후 온난화와 더불어 그 지역의 풍토병이었던 것이 그 지역을 벗어나 세계적 유행으로 위협하는 변종 전염병들이 수십 종이나 된다. 자유무역을 추구하는 우리나라도 유행병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그동안 세계적으로 질병으로 인한 경제손실 추정액이 사스로 인해 500억 달러, 조류독감으로 300억 달러로 피해가 막대하다. 2011년 우리나라는 구제역으로 손실이 수조원에 이르렀다. 무엇보다 국민 건강 안전을 생각한다면 국가적 감염병에 대한 사회안전망 구축은 국가경제 성장엔진보다 오히려 더 중요하다. 미국의 경우 전염병 감시를 국가안보전략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렇게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가시화되고 분명한 안전망이 드러나지 않고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첫째는 예산이 과거보다는 늘었지만 아직도 부족하다(650억원 수준, 미국의 1%)는 것과, 둘째는 예산이 기술연구 개발지원에 집중돼 있는 것이 문제이다.

전염병 연구에 있어 현장 고속진단 기술이나 바이오칩과 바이오센서 개발이 기본적으로 중요하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종합적 디지털 방역체계 구축과 같은 큰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이 디지털 방역체계에 관한 사항으로 2008년 4월 국무회의에서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근본적 대책 마련을 하라는 대통령 지시와 2010년 1월 포천지역 구제역 발생시 철저한 방역조치 및 추가확산을 막기 위한 만반의 대응조치를 갖추라는 대통령 지시에 따라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디지털가축방역 체계’ 연구사업을 계속하고 있다.

이는 전자정부지원사업 일환으로 신속 조기대응 체제를 포함 IT기반 지능형 생물학적 재난방재 정보시스템 구축이 목표이다. 전자정부 3.0시대를 바라보는 우리나라는 지식정보의 검색과 관리시스템, 멀티미디어 정보처리, 시스템 통합 및 상호운용을 위한 잠재력은 충분하다.

그런데도 왜 이러한 사업이 아직도 연구 사업에 머물러 있을까?

그 이유는 국가 전염병 생물학적 재난에 대한 효과적인 방재를 위해서는 예측을 위한 수치분석 모델링,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모델링과 같은 정교한 알고리즘 개발, 과학적 분석 자료를 거시적으로 통합, 운용할 국가적 중앙관제소가 필요한데 즉, 보건 의료라인 공공의료기관(보건소)과 각종 병원 연결망, 행정라인의 소방방재청과 지자체 연결망, 농축산 라인의 각 농장과 축산관리소 연결망, 국토환경 라인으로 지질과 지하수, 교통상황, 지역기후 등 각 라인별 및 라인간 모델링 및 통합시스템 구축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간 자료 수집을 위한 USN/RFID(Ubiquitous Sensor Network/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반 구축, 지역별 데이터 저장소 설립, 텔레마틱스와 같은 응용정보 기술 적용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만큼 현재까지의 연구사업은 범부처란 무늬의 기술개발 실적은 있으나 실제 부처간 통일된 국가적 시스템 구축엔 거리가 있다고 평가한다.

또 하나의 큰 이유는 국제간 정보 공유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큰 진전이 없기 때문이다. 국가 전염병 생물학적 재난에 대한 효과적 방재를 위해서 글로벌화 관련 감염증 위험에 대한 각 국가 감시체계간 국제협력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세계적 추세인 표준화된 온톨로지 기반 지식공학 정보시스템 공유도 필요하다. 뉴스, 블로그, 이메일, 채팅 등 웹기반 데이터 수만 개를 추출, 분류, 필터링, 연결하는 무료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제공, 질병 관련 기사를 분석해 중복 기사는 제거하고 관련 토픽에 대한 새로운 기사는 Google Map에 추가하고, 뉴스의 언급 정도에 따라 컬러로 코드화해 알려주는 healthmap system이 한 예이다. 이미 해외 선진국에서는 전염병 조기감지와 대응정보 시스템들을 실제 활용 중에 있어 정보시스템의 발전된 미래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우리나라도 차제에 시급한 국가 감염병과 재난 재해 대응을 우선으로 IT 기술 기반 국가적 total R&D 개발을 완료해 세계 최고의 국가 감염병 및 국가재난 대응시스템은 물론 과학기술 전반 국가적인 사이버 인프라 구축으로 나아가길 기대한다. 종국적으로 형성된 빅 데이터는 미래국가 기술발전의 큰 핵심이 될 것이다. (미래한국)

윤성철 편집위원. 단국대 의대 교수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