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문제, 미국은 해결하지 못한다
북핵문제, 미국은 해결하지 못한다
  • 한정석 편집위원
  • 승인 2013.02.04 09: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의 3차핵실험이 임박했다는 보도가 연일 홍수를 이룬다.
이번에는 플루토늄이 아니라 소형 핵탄두가 가능한 우라늄 핵실험일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도하는 국내 언론의 태도는 하나같이 ‘발표 저널리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마치 남의 나라 사건을 다루 듯 할 뿐이다.

무엇보다 우리는 이번 북한의 3차핵실험이 미국의 ‘북핵폐기 전략의 실패’라는 점에 주목해야한다. 북한은 미국이 인정하는 핵협상국의 지위를 얻기 위해 미 본토를 공격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 확보, LA 정도의 도시를 파괴할 수 있는 핵 위력, 그리고 핵탄두 탑재능력을 차례차례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한 미국의 북핵전략은 ‘검증가능하고 돌이킬 수 없는 폐기’에서 어느 틈엔가 ‘테러 용의국에 핵기술 유출불가’로 그 금지선(Red line)을 후퇴시켰다. 미국은 북한이 ‘핵 정치’를 통해 한미동맹을 약화시키고 남한 사회를 볼모로 삼아 적화하려 한다는 의도를 적어도 읽지 못했거나, 읽었어도 이를 한국의 대미 군사의존 심화의 계기로 삼으려 했다는 의심을 자아내게 만든다.

美 북핵대응 실패, 북한을 잘못 읽었다

어느 쪽이든 미국의 북핵해법은 실패하고 있다는 점이 분명하다.
그 많은 6자회담과 미북회담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결국 북한은 자신들이 원하는 카드를 한 장씩 착실하게 손에 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미국조차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의지가 없거나, 아니면 북핵을 와일드카드로 삼아 한‧중‧일의 동북아시아에 개입하는 지렛대로 삼으려는 전략 중에 하나라는 모호함을 불러 일으킨다.

하지만 적어도 미국의 지난 북핵문제 대응을 복기해 보면 분명한 실수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011년 부시 정부의 국방장관을 역임했던 딕 체니는 자신의 회고록 <나의 시대 : 사적이고, 정치적인 회고(In My Time: A Personal and Political Memoir)>에서 이렇게 말한다.

“부시 대통령은 우리의 목적이 북한으로 하여금 핵무기프로그램을 포기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분명히 해왔다. 하지만 협상이 진행되면서 국무부는 북한이 뭔가에 동의하는 것이 최종 목적인 것처럼 생각했다. 우리는 북한의 불투명성과 부정직함에 상당한 양보를 하며 대응했고 이는 북한의 이중성과 속임수를 확대시켰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대통령의 목적을 완수하지도 못했고 오히려 퇴보한 합의를 받아들였다.”

딕 체니는 부시정부 부통령 재임시절, 북한이 핵포기를 받아들이도록 하려면 확실한 ‘군사적 응징’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첫 번째 액션이 북한이 시리아에서 짓고 있는 원자로 시설 폭격이었다. 하지만 딕 체니의 이러한 주장은 받아들여 지지않았고 이후 2007년 이스라엘에 의해 시리아의 원자로는 공습으로 파괴됐다.

딕 체니는 부시정부가 북한 핵에 대한 군사적 카드를 버리고 외교적 채널로 바꾼 것은 큰 실수였다고 지적한다. 여기에는 콘돌리자 라이스의 ‘설득론’이 주효했다.

하지만 북한 김정일은 미 국무부가 군사력을 통한 외교를 할 수 없다는 점을 이용했다. 미국은 북한의 벼랑끝 협상에서 늘 한 발씩 양보해야 했던 것이다. 그 결과 부시정부는 북한을 테러 지정국에서 해제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북한의 이러한 전술에 미국이 말려들었다는 비판은 랄프 코사(Ralph Cossa) 전략국제문제센터(CSIS) 태평양포럼 회장이 지난 2011년 본지 <미래한국>과 가진 인터뷰에서도 주장한 바 있다.

“북한이 6자회담 성공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6자회담은 실패했다. 북한은 전통적으로 진실의 순간에 이르기 전까지는 보상을 대가로 협상을 진전시키다가 그때가 오면 발을 빼버리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려고 한다. 핵폐기 검증은 지난 마지막 6자회담을 갑자기 멈추게 한 진실의 순간이었다. 실패의 이유를 대자면 20페이지 보고서를 써도 부족할 것이다.”

이러한 미국의 북핵대응의 실패는 2011년 오바마 정부가 IAEA에 북핵문제를 자문하는 전 사무총장 한스 블릭스와 덜 떨어진 교감으로 더욱 북한을 의기 양양하게 만들었다.

북한 대변인으로 나섰던 전 IAEA 사무총장

한스 블릭스는 1994년 북핵 제네바 일반협정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북한을 많이 상대했고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사태와 이라크 사담 후세인의 핵개발 조사를 진두지휘했던 인물이다. 그는 자신의 모국인 스웨덴에서 변호사로 활동했고 케임브리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스웨덴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이런 화려한 배경과 수 년 간의 축적된 전문 경험을 가진 한스 브릭스가 2012년 3월,서울에서 열린 핵안보 정상회담을 앞두고 ‘6자회담 당사자들은 북한과 무조건 대화를 재개해야 한다’면서 ‘북한과 이란 같은 나라들은 자존심이 강하다’라고 말할 줄은 아무도 몰랐다.

충격적인 것은 북한의 대변인을 자처한 한스 브릭스가 서울에서 외신기자들과 가진 대화에서 그렇게 말했다는 점이다. 한스 블릭스는 한 술 더떠서 ‘북한 핵문제를 심화시킨 장본인은 북한을 악의 축으로 몰았던 부시대통령’이라고 말하기까지 했다.

이러한 발언은 북핵문제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는 한스 블릭스와 미 오바마 정부간에 사전 조율 없이는 나올 수 없는 것이었다.

이런 점은 오바마 정부에게 북핵문제를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오바마 정부가 재정문제로 인해 동아시아에서 미군 군사력의 감축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북한 핵문제에 대해 군사적 해결의 가능성은 없다는 이야기다.

오바마 북핵해결 난망, 박정희 ‘자주국방’ 리더십 필요

지난 달 24일, 존 케리(Kerry) 미국 국무장관 후보자는 미 의회의 인준 청문회에서 중국과의 유대 강화를 강조하고, 아시아 주둔 미군을 강화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그렇다면 이제 북핵문제는 우리 나름대로 자주적인 방안을 모색할 때도 되지 않았을까. 다시 말해 남한의 독자적 핵무장이든, 북한에 대한 선제 핵시설 공격이든 뭐든 선택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박정희 대통령은 1968년 서울대 졸업식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살기 위해서는 이 나라를 우리의 힘으로 지켜야 한다. 우리나라는 우리의 힘으로 지키겠다는 결심과 지킬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하고 준비를 해야 한다. 우리의 힘이 부족할 때는 남의 도움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남이 돕는 것은 어디까지나 도움이라고 생각해야지 우리 대신에 남이 우리를 대신해서 지켜 주기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 나는 이것을 국방의 주체성이라고 말한다. 남이 우리를 도와주는 것도 우리에게 국방의 주체성이 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하겠다”

박정희 대통령의 리더십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시절이다.

한정석 편집위원 kalito7@futurekorea.co.kr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