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이 사망하기 전부터 김정일은 누가 뭐라고 해도 북한의 1인자였다. 김정일의 공식적인 정치 입문은 1967년 당의 핵심부서인 조직지도부 과장부터이며 1971년 당 조직지도부 부부장, 1973년 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부장을 거쳐 중앙위원회 조직 및 선전담당 비서 겸 조직지도부 부장, 3대혁명 소조운동 총책임자가 되면서 북한의 실제적인 실무 책임자로 활약하기 시작했다.
김정일은 1974년 2월 당 정치위원회 위원(지금의 정치국원)이 되면서 ‘친애하는 동지’ 또는 ‘영광스러운 당중앙’으로 호칭됐고 김일성의 후계자로 공식 확정됐으며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위원, 정치국 상무위원, 비서국 비서, 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면서 공식적인 2인자가 됐지만 실제로는 1인자였다.
이때부터 김정일의 공식적인 호칭은 ‘친애하는 지도자 동지’로 변경됐고 김일성에게 심려를 끼치는 것은 죄악이라고 하면서 북한의 모든 문제에 대해 김정일에게 먼저 보고하도록 하는 ‘제의서 정치’를 통해 북한의 모든 실권은 김정일이 장악했으며 김일성은 간판에 불과했다.
북한의 일반 주민들에게까지도 김일성은 대외활동만 하고 국내의 모든 실권은 김정일이 쥐고 있다고 상식으로 돼 있었기 때문에 김정일에 대한 충성 경쟁은 김일성에 버금갈 정도였다.
그랬기 때문에 김일성이 사망했어도 김정일은 3년 동안 김일성의 자리였던 조선노동당 총비서직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석직을 공석으로 두고 유훈통치를 할 수 있었다.
그런 가운데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북한의 식량난과 경제난은 1990년대 들어서면서 더 심각해졌고 김일성이 사망한 후 북한 주민 300만 명이 굶어죽을 정도로 악화됐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김정일은 교활하게도 주석직과 노동당 총비서직을 비워두고 김일성의 유훈을 관철해야 한다는 미명하에 극도의 식량난과 경제난 책임을 ‘김일성의 혁명 위업을 계승하고 김일성의 업적인 사회주의를 지키기 위해 치러야 하는 희생’으로 전가해 자신의 권력욕을 김일성의 혁명 위업 계승과 완성으로 미화했다.
김정일의 ‘유훈통치’가 가능했던 이유
김일성의 유훈을 관철해야 한다는 논리는 간단하다. 일제 식민지에서 북한 주민을 해방하고 토지개혁과 사회주의혁명을 통해 배급제와 무상치료제, 무료교육제도 등 인민들의 먹고, 입고, 쓰고 사는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줬다고 자랑하는 김일성의 혁명 위업인 사회주의체제를 지키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이것은 폐쇄된 곳에서 세뇌된 북한 주민 수백만명을 굶겨 죽여도 반항 한 마디 없이 순종하게 만드는 최고의 통치전략이었다.
그래서 김정일은 김일성 사망 이후 더욱 더 김일성 우상화에 집착했다. 3년간 북한 주민 300만명을 굶겨 죽이면서도 김일성의 시체를 보관하는 금수산 기념궁전 건설에는 북한 주민 3년분 식량에 맞먹는 8억9000만달러를 탕진했다.
김정일이 죽자 이번에는 김정일의 아들이라는 이유만으로 28세의 어린 김정은이 북한의 최고 권력으로 내세워졌다. 그런데 이번에도 또 죽은 김일성이 전면에 나섰다.
이번에 나선 김일성은 1945년 등장했던 ‘청년 김일성’이었다. 66년 전 만주에서 싸우다가 귀국한 김일성의 모양을 만들어내느라 북한의 최고지도자의 패션은 1940년대로 복귀했고 20대의 김정은은 김일성처럼 보이기 위해 호르몬제 투여를 비롯한 ‘강제 비육’을 당해야 했다.
김일성을 한 번도 만나본 적조차 없다는 김정은은 ‘김일성의 껍데기’를 뒤집어쓰기 위해 인조인간이 됐던 것이다.
김일성 향수를 자극해 북한 주민들의 충성심을 이끌어내 보겠다는 최악의 발버둥이지만 김일성의 향수가 아무리 진했다고 한들 20년 이상을 굶주리며 장마당에서 목숨 걸고 생존 전쟁을 치르고 있는 게 북한의 실상이다.
북한통치의 최고수단이었던 배급제는 기억조차 가물가물해졌고 진짜 김일성이 살아 돌아왔다고 해도 북한 주민들이 감동하기에는 그들의 고통이 너무 심해졌다.
북한의 문제 해결은 김일성을 버리는 데서부터 시작돼야 하고, 김일성이 오판한 사회주의혁명이론이 인민에게 재앙을 가져다 줬다는 것을 인정함으로써 완성돼야 한다.
또한 김일성이 적(敵)으로 생각했던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를 선택해야만 근본적인 해결이 될 수 있는데 김정일도 김정은도 권력을 위해 김일성을 버릴 수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보면 김일성이 사망한 후 지난 20년 동안 북한의 실제적인 통치자는 ‘김일성의 유령’이라고 할 수 있다.
김정일은 김일성의 유훈이라는 명목으로 김일성 유령을 내세워 통치했고, 김정은은 어쩌면 흔적만 남은 김일성의 향수를 자극해 ‘김일성 유령통치’를 하고 있다.
북한 주민들의 자유와 인간다운 삶의 권리를 위해, 한반도와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한민족의 통일을 위해 이제 북한 주민들은 김일성 유령에서 벗어나야만 한다.
이애란 편집위원·북한전통음식문화원장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