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이민자 통합 정책, 성공인가 실패인가
미국의 이민자 통합 정책, 성공인가 실패인가
  • 이상민 기자
  • 승인 2015.02.17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민국가 ‘미국’의 오랜 이슈 중 하나인 이민자 통합을 두고 최근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바비 진달 주지사(루이지애나, 공화당)의 견해가 주목을 받고 있다.

2015년 1월 7일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자행한 프랑스 파리 만행과 관련, 오바마 대통령은 유럽사회가 무슬림 이민자들을 잘 통합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진달 주지사는 유럽사회에 통합하지 않은 무슬림 이민자들이 문제라는 상반된 시각을 보여 화제가 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16일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와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큰 장점은 미국 내 무슬림들이 자신을 미국인이라고 느끼는 것”이라며 “이것은 우리 전통의 일부인 (이민자들의) 통합과 동화의 놀라운 과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하지만 유럽은 그렇지 않은데 이것이 아마도 유럽이 직면한 가장 큰 위험”이라며 “유럽은 철퇴와 법, 무력으로 대응하기보다 무슬림 커뮤니티의 사회 통합을 위해 더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럽에서 급증하고 있는 무슬림 이민자들을 어떻게 유럽사회의 일부로 통합시킬 것인지가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유럽 국가들은 그동안 무슬림 이민자들에 대해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에 기초한 이른바 ‘샐러드 보울’(Salad Bowl) 접근법을 취해왔다.

샐러드 접시 위에 야채와 과일이 본연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함께 놓여 있는 것처럼 이민자들이 고유한 문화와 가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공존’하자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법은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2010년 다문화주의에 기초해 이민자들을 독일사회에 통합시키려는 노력이 완전히 실패로 돌아갔다고 시인했다.

그는 1960년대 독일의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기 위해 ‘게스트 워커’(guest worker)로 들어와 250만 명까지 늘어난 독일 내 터키인들에 대해 “우리가 단순히 같이 살면서 서로 행복하면 된다는 식의 다문화주의적 접근을 취해왔지만 이것은 완전히 실패했다”고 말했다.

▲ 프랑스 경찰과 두 명의 무슬림 여성들

그는 “터키인들은 독일사회에 통합되지 않았고 자기들만의 커뮤니티를 만들어 고립돼 왔다”며 “우리 사회에 참여하려는 이민자들은 우리의 법뿐 아니라 우리의 언어를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독일 내 터키인들은 독일어를 배우거나 독일 문화를 익히지 않아 독일인이라기보다 독일에 사는 터키인이라는 정체성을 갖고 살아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독일을 방문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가 이들에게 액센트 없이 독일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공부하라고 독려할 정도다.

이렇게 실패한 다문화주의 접근으로 유럽 내 무슬림 인구들은 기존 유럽사회에 통합되지 않은 채 자기들만의 커뮤니티를 만들었다. 일부 지역의 경우 비무슬림은 들어갈 수 없고 이슬람법인 샤리아로 통치되는 이른바 ‘No-go zone’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비 진달 주지사는 유럽에 ‘No-go zone’은 분명히 존재한다며 이처럼 이민을 왔으면서도 이민 온 사회에 참여하고 통합하지 않는 이민자들의 태도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민자들이 이민 온 사회의 가치와 문화를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의 문화와 가치만을 고집한다면 그것은 이민이 아니라 침략이라고 비판했다.


이민자와 미국문화의 동화작용 필요

인도 이민자의 아들인 진달 주지사는 45년 전 이민을 올 때 미국인(American)이 되기 위해 왔다는 부모의 말을 인용하며 미국으로 온 이민자들은 미국사회의 가치와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일부가 되는 ‘멜팅 팟’(Melting pot) 접근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멜팅 팟 접근은 이민자들의 출신 문화와 특징들이 ‘미국사회’라는 용광로에서 기존 미국의 특성과 함께 녹아 새로운 ‘합금’이 돼 나온다는 것이다.

그는 미국에 온 이민자들이 이런 태도를 갖지 않으면 미국에도 유럽에서 보는 비슷한 ‘No-go zone’이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이민자들이 자신을 출신 국가를 하이픈(-)을 매개로 American 앞에 붙이는 하이픈 아메리칸(아이리쉬-아메리칸, 코리안-아메리칸 등)이 아니라 그냥 아메리칸(American)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사회는 유럽과 달리 이민자들이 자신을 미국인으로 인식하는 멜팅 팟 접근이 가능한 조건을 구비하고 있다.

이민자 통합 전문가인 맨하탄 연구소의 피터 샐리슨 선임연구원은 이민자들에 대한 차별을 막고 시민 합법성을 부여하는 미국 정치시스템, 재능과 노력에 따라 보상을 받는 미국의 시장자본주의, 이민자들의 지역사회 참여와 동화를 돕는 미국의 수많은 단체들, 새로운 변화에 수용적인 미국인들의 태도를 그 조건으로 들고 있다.

샐리슨 연구원은 미국에서는 이런 기초가 든든해 이민자들은 결국 자신을 미국인으로 느끼기 시작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미국사회에서 이민자들은 언어와 문화 차이 등으로 자신들만의 커뮤니티를 유지하며 ‘끼리끼리’ 모이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110여 년의 미국 이민 역사를 가진 한인 이민사회의 경우 어떻게 해야 한인들이 미국사회에서 남이 아니라 이른바 미국 주류사회에 참여하고 기여하는 미국인이 될 것인지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여기에 포용(tolerance), 다양성(diversity)이 미국사회 규범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가 부상, 멜팅 팟 접근이 힘을 잃으며 기존의 미국 가치가 약해지고 있다는 평가다. 이슬람 등 타종교를 포용하면서 미국 건국의 근간인 기독교 가치가 약해지고 있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다.

이번 프랑스 파리 참사는, 논란이 계속되는 불법 이민자보다 합법 이민자들을 어떻게 미국사회에 참여시키고 동기부여를 해서 미국 시민이 되도록 만드느냐가 더 시급한 이슈라는 것을 미국사회에 던져주고 있다.


워싱턴=이상민 기자 proactive09@gmail.com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