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의 고질적인 홍수병(洪水病)은 천재(天災) 아닌 인재(人災)
北의 고질적인 홍수병(洪水病)은 천재(天災) 아닌 인재(人災)
  • 백요셉 미래한국 기자
  • 승인 2016.09.26 09: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 홍수의 원초적 화근인 주체농법과 화전(火田)

지난 8월 말 북한이 또다시 심각한 홍수 피해를 입었다. 태풍명 ‘라이언록’이 몰고 온 집중 폭우로 두만강이 범람하면서 북부국경지역에서 138명이 사망하고 400여명이 실종되었으며 6만8000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것으로 북한 당국이 밝혔다.

▲ 조선중앙tv 캡처

북한 매체는 ‘해방 이후 최악의 대재앙’이라는 극단적인 표현까지 써가며 이례적으로 피해 상황을 상세히 선전하고 있다. 북한당국이 중국과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에 수해복구 지원을 적극적으로 요청하고 나선 가운데 국내 일부 친북성향의 단체들과 정치권 일각에서 무조건 적인 대북지원을 주장하고 나섰다.

하지만 해마다 여름 장마철이면 어김없이 반복되는 북한의 물난리는 ‘천재지변(天災地變)’이 아닌 ‘인재(人災)’라고 봐야 한다는 국내외 여론이 확산됨에 따라 대북지원에 대한 한국 정부와 국민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북한이 과거와 같이 홍수가 날 때마다 ‘천재지변’을 운운하면서 정권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과 원성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는 속셈 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해마다 반복되는 北의 물난리는 ‘언제나 최악’

북한에서 한 여름 집중 호우로 강하천이 범람하여 농경지와 도로 등이 파괴되고 살림집이 떠내려가는 물난리 현상은 이미 북한주민들에게는 매우 익숙해진 현상이다. 북한은 작년 여름에도 홍수로 인해 나선시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만10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당시 교량 50여 곳이 붕괴되었고 많은 공공시설물들이 침수되었다.

▲ sinhuanet/afp

2012년에도 북한은 수개월에 걸친 장맛비로 인해 북한 전 지역이 심각한 홍수로 몸살을 앓아야 했다. 사망자 300명에 실종 600명, 그리고 이재민 29만8000명이 발생했으며, 붕괴 및 침수된 가옥도 8만7000여 가구에 달해 북한당국의 주장대로 올해 홍수가 ‘해방 이후 최악’은 아니었다.

북한은 2007년 여름에도 서해안지역과 강원도 등 에서 500여명의 사상자와 1만4000여 호의 살림집이 침수되는 등 큰 홍수 피해를 입었다. 북한당국의 주장대로 진짜 북한의 ‘해방 이후 최악의 대재앙’이었던 홍수는 실제로 1995년 여름에 발생했다. 이때는 불과 보름동안 쏟아진 물 폭탄으로 북한전역이 침수되고 파괴되다 싶이 했다.

유엔인도주의조정국의 공식 발표에 의하면 북한 영토의 약 75%에 해당하는 8개도와 145개 시·군에서 침수 피해가 있었고, 약 520만 명이 수해를 입었는데 그 중 10만 가구에 거주하는 50여만 명의 주민이 집을 잃고 한지에 나앉았다고 한다. 당시 북한당국이 공식적으로 밝힌 피해액은 북한 국민총생산(GNP)의 70% 수준인 150억 달러였고, 수해로 인해 발생한 이재민은 북한 전체 인구(당시 2150만명)의 25%였다고 한다. 북한은 이때부터 이른바 ‘고난의 행군’이라는 대 기근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북 홍수의 원초적 화근인 주체농법과 화전(火田)

산림은 물을 저장하는 가장 큰 역할을 한다. 북한에서 해마다 일어나고 있는 홍수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한여름 내린 빗물을 보존하는 산림(山林)의 심각한 훼손이다. 북한은 전체 영토의 73.2%가 산지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이 산들의 70여%는 20도(각도) 이상의 가파른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하지만 북한은 1990년대 이전부터 이른바 ‘주체농법실현’ 이라는 미명하에 경작지 면적 확보를 목적으로 산 경사면에 나무들을 밀고 다락 밭들을 대대적으로 건설하면서 북한의 살림면적은 현저히 줄어들게 되었다.

그 이후 불어 닥친 경제난으로 인해 농민들이 산의 나무를 태우고 개인 농경지인 ‘화전’을 무차별로 개간하기 시작하면서 북한의 산림 훼손은 더더욱 심각한 기경에 이르게 되었다. 북한의 극심한 경제난은 심각한 에너지난을 동반했으며 북한 주민들은 땔감을 구하기 위해 깊은 산속의 나무들까지 가차 없이 남벌(濫伐)하기 시작했다.

거기에 북한 당국의 강하천 정비 소홀과 호수 및 저수지 같은 담수(湛水) 시설의 부족 및 관리 부실로 인해 장마철 홍수의 피해는 가중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기상예측장비의 노후화로 인해 북한 당국에서 보도하는 일기 예보가 정확하지 않아 인명피해와과 재산손실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북한의 대부분 일반 단층 살림집들이 철제 골조가 들어간 단단한 콘크리트 벽이 아니라 주로 물에 약한 진흙블록으로 지워진 조선시대 전통식에 가까운 건물이라서 더더욱 홍수에 취약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번 북한 홍수피해에 대하여 미국의 한 북한 전문매체에선 대북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북한 당국이 주민에게 알리지 않은 채 저수지 수문을 개방해 인명 피해를 키웠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 모든 정황들을 고려해봤을 때 분명 그동안 북한에서 발생한 수해는 천재가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북한 당국은 해마다 반복되는 수해를 천재지변이라고 주장하면서 주민들의 불만과 원성이 김정은과 북한정권으로 향하지 못하도록 주민들을 기만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북한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는 북한 당국의 무능함을 비난하는 불만의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고 한다.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북한이 똑같이 물난리를 겪었는데 중국은 피해가 적고 우리(북한)만 피해를 입었다. 사람을 구조하는 것도 중국 쪽에서는 보트도 띄우면서 빠르게 했는데 우리는 아무 것도 없었다. 그걸 지켜보는 사람들이 얼마나 화가 났겠나”고 한 현지 북한주민의 불만토로가 대북 단체 관계자에 의해 전해지기도 했다.

김정은, 수해복구와 이재민 구제에는 전혀 관심 없어

북한주민들이 홍수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도 김정은은 당당하게 5차 핵실험을 강행했고 계속해서 미사일 엔진실험을 실행했으며 6차 핵실험까지 앞두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김정은은 두 개 도에 걸쳐 심각한 수해가 발생한 것에는 아랑곳 않고 비싼 외제차를 타고 현지시찰이랍시고 엉뚱한 곳으로만 다니고 있어 국내외 여론의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북한당국은 아직까지 남한 측에 정식으로 수해지원요청을 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런데 야당을 위시한 정치권 일각에서는 "(北)핵실험에 대한 제재와 별개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북한에 긴급지원을 해야 한다"고 우리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북한의 홍수 피해를 무조건 지원해야 한다는 정치권 일각의 이러한 주장에 대해 우리정부는 부정적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자국 내에서 사상 최악의 홍수가 발생하여 주민들이 고통을 겪고 있음에도 이에 전혀 아랑곳하지 않고 김정은은 오히려 5차 핵실험을 강행한 만큼 우리 정부가 수해 지원에 나설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정상적인 국가라면 피해복구와 주민지원 비용 등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상식인 데 반해 김정은 정권은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는 5차 핵실험을 홍수 발생 일주일 후 단행했다"고 북한 정권을 비판했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