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과 체제 경쟁
평창올림픽과 체제 경쟁
  • 김범수 미래한국 편집인
  • 승인 2018.01.02 17: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7년 촛불체제를 완성하고 헌법적 가치와 절차를 교체 중인 대한민국이 2018년 카이로스의 시간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체제와 북한 김정은 공산독재 체제간의 종말을 위한 경주. 어느 쪽이 먼저일까.

평창올림픽이 열리는 기간은 공교롭게도 미 당국이 분석한 북한의 핵개발 완성 시기와 일치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결 방안으로 북한 ICBM에 대한 원포인트 타격, 핵과 미사일을 단기간에 제거하는 다중병행식 선제타격, 김정은 제거, 해상봉쇄 등의 군사옵션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미 올림픽 대표선수단이 평창올림픽에 불참할 수 있다는 얘기가 미국 정부로부터 흘러나오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다급해졌다.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한미군사훈련의 축소 및 중단 방안을 제시했고 ‘미국의 독자적 대북공격이 한미동맹의 파열을 가져올 것’이라며 미국의 발목을 잡았다.

그리고 북한을 평창올림픽에 참가시킬 수 있다면 무엇이든 할 태세다. 의도적이든 아니든 대한민국은 지금 한·미·일 동맹에서 벗어나 남·북·중 연맹으로 이동 중이다.

북한을 불러들이기 위해 올림픽 제전의 ‘평화’의 기치가 동원되지만 결과는 절체절명의 김정은 체제를 위한 시간벌기가 된다.

혹은 북한 선수단의 참여가 북핵과 한반도 평화의 문제를 진전시킬 것이라고 믿는 누군가가 정말 있는 것일까? 북한은 새해 평화공세를 펼치며 남북관계를 주도하려 하거나 미북 평화협정 체결을 위한 핵능력 고도화 작업을 지속할 것이다. 

올림픽과 스포츠의 핵심은 땀과 실력이 결과를 좌우하는 공정한 경쟁이다. ‘메이저리그 우파-할리우드 좌파’라는 말이 있듯 운동선수 중에는 우파가, 문화예술인 중에 좌파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관찰이 있다.

 

이는 운동선수가 ‘단순하고’ 예술가들이 ‘심오해서가’ 아니라 경기의 승패는 대체로 정직하고 객관적인 데 비해 대중의 취향과 감성에 어필하고 이에 의해 평가되는 예술가의 성공은 주관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메달은 모두에게 평등하게 분배되지 않으며 엄정한 기록과 점수에 의해 승자와 영웅이 탄생한다. 경기에서는 좌파적 요설이 설 자리가 없다.       

동시에 올림픽은 ‘정치적’이기도 하다. 1936년 베를린올림픽은 히틀러와 나치의 입지를 강화시켜주는 데 활용됐고 1964년 도쿄올림픽, 1988년 서울올림픽, 2008년 베이징올림픽 등도 주체국의 경제성장과 국력신장을 과시하는 기회가 됐다.

특히 사회주의 국가에서 문화예술과 스포츠는 정치와 이념을 위한 선전선동의 전위대로 활용돼왔다.

평창올림픽은 우리에게 무슨 의미일까. 태극전사들을 한마음으로 열렬히 응원하면서 가치공동체인 대한민국에 대한 소속감과 애국심을 확인하고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소중함과 경제적 번영의 성과와 미래를 생각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면 지나친 것일까.

▲ 미래한국 발행인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