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를 보는 눈] 가업승계 경영이 성공하려면
[시대를 보는 눈] 가업승계 경영이 성공하려면
  • 이종윤 미래한국 상임고문, 한국기독교학술원 원장
  • 승인 2020.07.07 0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의 4대의무 중 납세의 의무는 국가 경영에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소득세를 한 푼도 내지 않는 근로자가 512만 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31%나 된다. 근로소득 가구 중 120만 가구는 소득세를 내지 않을 뿐 아니라 정부로부터 근로장려금이라는 이름으로 최대 210만 원까지 현금 지원을 받고 있다.

2015년 4월에는 근로소득자 541만 명에 대해 4227억 원, 1인당 평균 8만 원의 소득세를 돌려주는 연말정산 보완 대책을 내놓았다. 전체 근로자의 84%를 차지하는 5500만 원 이하 근로자의 소득세 실효 세율도 1.32%에서 1.16%로 낮아지게 했다. 연소득이 1000만 원이면 세금은 11만6000원만 낸다는 뜻이다.

자영업자 중에서도 소득세 면제자 비율이 21%(92만 명)에 달한다. 이처럼 세금을 면제받는 사람이 많다보니 그 부담은 중상층 소득자에게 쏠리고 세금 부담이 공평하지 못하다는 불만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종윤 미래한국 상임고문, 한국기독교학술원 원장
이종윤 미래한국 상임고문, 한국기독교학술원 원장

국가의 주세원은 부가가치세, 소득세, 법인세 등이 주축을 이룬다. 보편적 복지국가인 스웨덴은 조세 부담률이 한국의 2배이고 부가가치세는 스웨덴·덴마크 25%, 핀란드 23%, 벨기에 21%, 오스트리아·영국 20%, 네덜란드 19%이나 한국은 10%다. 반면에 경기 활성화를 위해 법인세는 줄이는 추세에 있다. 소득세는 한국의 하위 30-35%가 소득세를 한푼도 내지 않고 상위 20%가 소득세의 93%를 부담하고 중산층이 7%를 부담하고 있다. 상위 1%가 소득세의 45%를 부담한다. 걸핏하면 분배를 외치고 있지만 국민의 80%가 세금을 내야 한다.

그리고 대기업의 경영 상속자들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상속세율로 인해 편법 또는 불법자로 만드는 제도를 속히 개선해야 할 것이다. 상속재산이 회사 주식일 경우 이는 돈이 아닌 미래가치의 상속 이지 소득이 아니다. 미현실 소득에 과세할 수 있는가? 회사와 사회와 달리 인간은 자손에게 대를 이어 물려주려는 본성이 있어 회사가 발전하고 성장해 왔다.

회사의 가치는 상장회사의 주식 총액이 그 회사의 자산이 아니어서 이익이 평가되는 상속재산을 임의로 줄여 상속세를 적게 내려고 이윤추구가 목적인 기업이 최근 1~3년 동안 이익을 내지 않아야 되는 역기능이 생기므로 시장경제 사회 발전에 크게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과다한 상속세 제도가 인간의 재산증식 본능을 억누른다면 이는 국가 사회 미래를 위해서라도 하루속히 법개정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세금을 내고 상속받은 회사의 자산을 상속인이 적절하고 합법적인 과정을 거치고 그에 따른 소득세를 낸 다음에 주식을 팔아 소득이 발생할 때 우리나라에서는 부자를 증오하는 사회의 분위기 때문에 상속재산이 기업이 아닐 경우에도 이중과세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속세를 내고 모은 재산에 대해 세금을 또 부과하는 것이 이중과세다. 이러한 이유로 상속세가 존재하는 나라들도 세율이 높지 않다. 2세 경영자는 owner(주인)로서 새로운 item(품목)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결심할 수 있으나 전문경영인은 선대의 경영을 받들어 유지시키는 일을 할 뿐이므로 시장경제 사회에서 우리의 선택은 자명하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