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뷰] 국제사회, “대북전단 금지는 인권 침해”
[글로벌뷰] 국제사회, “대북전단 금지는 인권 침해”
  • 도널드 커크 미래한국 편집위원·전 뉴욕타임스 특파원
  • 승인 2020.12.31 1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nfluential Leaders at UN, U.S. Congress, Human Rights Activists Protest Ban  on Balloons Dropping Leaflets Over North Korea as Human Rights Violation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토머스 오헤야 킨타나(Tomas Ojea Quintana)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토머스 오헤야 킨타나(Tomas Ojea Quintana)

한국 정부는 탈북민들의 대북전단 살포를 금지함으로써 남북한 언론의 자유와 정보의 자유에 대해 엄청난 타격을 입혔다. 이 전단살포금지법안은 한국뿐 아니라 유엔과 미국에서도 반발을 불러 일으킨다. 의회에서 의원들이 기본적인 인권을 침해한다고 비난한다.

가장 의미 있는 답변은 토마스 오헤야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한국 국회에 캔디바, 달러 지폐, 심지어 한국 방송이나 또한 미국의소리 그리고 자유아시아 라디오 방송들을 들을 수 있는 전자 장치들을 담은, 대북전단 살포에 대해 벌금과 형량을 부과하는 남북관계법 개정안을 철회해 줄 것을 청원한 것이다.

북한의 터무니없는 인권 침해를 공격한 킨타나는 그러한 조치를 한 한국을 비난하며 탈북민 권리에 대한 이번 공격의 심각성을 충격적으로 상기시켰다.

킨타나는 이전에 한국이 북한인권에 대한 기록을 비난한 유엔 결의안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비난했으며 이 법안이 두 가지 이유로 불행한 것으로 보고 있다.

첫째, 한국전쟁의 기원과 그들의 삶을 지배하는 독재체제의 본질에 대한 현실적인 이해를 박탈당한 북한 주민들은 이 전단을 통해 뉴스와 견해를 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전단을 기획한 사람, 편집자, 작가들이 생각하는 것을 말할 권리가 있고, 그들이 말해야 할 대상자들에게 그들의 생각을 전파할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두만강이나 압록강을 건너 중국으로 탈출해 중국인들에게 붙잡히면 자동적으로 북한 감옥으로 압송된다는 공포를 무릅쓰고 한국으로 오는 베트남이나 태국, 몽골에서 안전하게 탈출했다.
 

남북한 언론자유·정보자유에 타격을 준 대북전단금지법

전단이 북한 지도부에 타격을 준 것은 분명하다. 북한은 지난 수년간 한국에 탈북민들의 행동을 중단하라고 요구해 왔지만 아무도 김정은의 영향력 있는 여동생 김여정만큼 거칠게 반대하지 않았다. 6개월 전 그녀는 한국 지도자들에게 “시도 때도 없이 ‘핵 문제’를 들먹인다며 비난하면서 우리를 비방하는 쓰레기 같은 잡동사니들의 나쁜 행동을 깨끗이 단도리 하라”고 요구했다.

김여정이 한 말의 진의를 보여주려고 북한은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 양측의 실무자간 조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북한에 건설한, 버려진 개성공단 안에 있는 아름다운 새 연락사무소 건물을 한 번에 폭파했다.

문 대통령은 합리적으로 북한을 상대할 수 없다는 증거에 대해 분노를 표하기보다는 유감 표명으로 응수했다. 문 대통령과 참모들에게 있어 유화정책은 김정은이 폐쇄할 의사가 없는 북핵을 포함한 기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대화가 중단된 지 오래된 남북 대화를 회복하는 데 있어 가장 가능성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한국의 반인권 법안에 분노하는 미국 정치인들과 인권운동가들

북한이 이 접근법에 친절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생각은 순전히 환상일 뿐이다. 뉴저지 출신 공화당 하원의원인 크리스 스미스는 최초로 이 전단살포금지법이 제정되기도 전에 강력한 어구로 비난했다.

스미스는 문 대통령 정권하에 남한 내 궤도 이탈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불법화하는 법안에서 증명되었듯이 ‘북한에 대한 명백한 묵인’ 뿐만 아니라 외교적으로 공산주의 중국 쪽으로 기운다”고 말했다. 그는 “표상적으로 활기찬 민주주의의 국회의원들이 세계에서 가장 잔인한 공산주의 독재정권 하에서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 정신적, 인도적으로 후원하는 행위를 불법화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법안에 대한 반대는 문 대통령과 그의 정부에 심각히 당혹감을 줬다. 하원 외교위원회 소속 공화당 마이클 매콜 하원의원은 한국이 북한의 뜻대로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을 통렬하게 역설적으로 요약했다. “한반도의 밝은 미래는 북한이 그 반대편이 아니라 남한과 더 닮아가는 것에 달려 있다”라고 말했다.

매콜은 분명히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민주당 의원들도 같은 생각을 많이 할 것이라고 믿는다. 그는 표현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라며 미국 의회의 초당파적 다수당들은 북한의 폐쇄적인 독재정권에서 외부 정보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려는 노력을 오랫동안 지지해 왔다고 말했다.

이제 북한의 인권 문제를 얼마나 강하게 압박할지는 바이든 행정부가 결정할 일이다. 우리는 바이든이 대통령 취임 첫 해 북한의 기록에 대해 상당히 강경하게 말한 후 기본적으로 이 문제를 포기했던 트럼프보다 더 강력하게 대처하기를 바랄 뿐이다.
 

한국 정부에 대한 국제인권 운동가들의 불신

한국 정부가 풍선 보내는 것을 금지하는 데 대해 강력히 지지하는 점을 고려할 때 미국은 당장 공식적인 외교적 차원에서 이 논쟁에 휘말리지 않을 것처럼 보인다. 통일부가 킨타나의 법안 비판에 대해 유감의 뜻을 표한 뒤 무슨 할 말이 또 있을까? 차기 국무장관인 블링컨이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교류를 갖는 것은 별 의미가 없을 것이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비무장지대에서 발생한 끔찍한 사건들을 막기 위해 필요한 조치라며 이 법안을 강력하게 옹호했다. 그러나 그 논쟁은 끝나지 않고 있다.

뉴욕에 있는 휴먼라이츠워치 아시아 담당 이사인 존 시프턴은 한국 측의 엄청난 역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한국 정부는 북한 주민들로 하여금 그들의 북방 이웃을 위해 그들의 기본권을 행사하도록 하는 것보다 북한의 김정은을 행복하게 하는 데 더 관심이 있는 것 같다”고 그는 말했다. “이 법안은 남한과 북한 주민 모두에게 큰 해를 끼친다.”

미 의회 초당파 인권위원회는 바이든의 취임 후 이 주제에 대해 장시간의 논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 모든 곳의 인권 운동가들은 이 문제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결국 이 법안에 대한 책임자들은 전단보내기 운동하는 사람들에게 재갈을 물린 것이 큰 실수라는 것을 깨닫게 될지도 모른다.

번역 미래한국 편집부

Donald Kirk  Senior Editor  Journalist and author
Donald Kirk Senior Editor Journalist and author

Influential Leaders at UN, U.S. Congress, Human Rights Activists Protest Ban  on Balloons Dropping Leaflets Over North Korea as Human Rights Violation

South Korean leadership, by banning defectors from launching balloons wafting leaflets over North Korea, has struck a devastating blow against free speech and freedom of information in both Koreas. The anti-leaflet legislation is inspiring an adverse reaction not only in Seoul but also at the United Nations and in Washington, where members of congress are denouncing it for compromising basic human rights.

The most meaningful response undoubtedly was the plea by Tomas Ojea Quintana, UN special rapporteur on human rights in the North, for the South’s national assembly to reverse course and repeal the amendment to the law on inter-Korean relations that would impose fines and prison sentences on those daring to launch more leaflets along with candy bars, dollar bills, even electronic devices to enable listening to broadcasts from South Korea, maybe also the Voice of America and Radio Free Asia. For Quintana, who attacks outrageous violations of human rights in the North, to find fault with South Korea for enacting such a measure was a shocking reminder of the seriousness of this assault on the rights of defectors.

Quintana, who has previously criticized South Korea for not supporting UN resolutions condemning North Korea for its record on human rights, sees the bill as unfortunate for two reasons. One is that North Koreans, deprived of any realistic understanding about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and the nature of the dictatorship that dominates their lives, are entitled to the news and views contained in these leaflets. The second, of course, is that the organizers, editors and writers of the leaflets have a right to say what they think and disseminate their ideas to people who should know what they have to say. All of them defected by escaping across the Tumen or Yalu (Amnok) rivers to China, risking capture by the Chinese and automatic return to the horrors of a North Korean prison before getting to safety in Vietnam or Thailand or Mongolia en route to South Korea.

Clearly the leaflets hit the North Korean leadership where it hurt. North Korea over the years has demanded that South Korea stop defectors from firing them, but no one ever objected so harshly as Kim Jong-un’s influential younger sister, Kim Yo-jong. Six months ago, she demanded that South Korean leaders “take care of the consequences of evil conduct by the rubbish-like mongrel dogs who took no scruple to slander us while faulting the ‘nuclear issue’ in the meanest way at the most untimely time.”

Just to show Kim Yo-jong meant what she said, the North Koreans, in one great explosion, destroyed the beautiful new liaison office building inside the abandoned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at South Korea’s President Moon Jae-in had bestowed on the North to facilitate coordination between working-level officials on both sides. Rather than express outrage over this irrefutable evidence of the futility of dealing reasonably with North Korea, Moon responded with disappointment and hurt feelings. For Moon and those around him, appeasement would be the likeliest way to restore dialogue, long since suspended, on basic issues including the North’s nuclear program, which Kim Jong-un has no intention of shutting down.

The notion that North Korea might respond kindly to this approach is sheer fantasy. Chris Smith, a Republican representative from New Jersey, was the first member of congress to come out with a strongly worded attack on the anti-leaflet law even before it was enacted. Voicing “serious concerns over the trajectory in South Korea under President Moon Jae-in,” Smith said the Moon government was guilty of “undue acquiescence not only to the communis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as evidenced by this inane legislation criminalizing humanitarian outreach to North Korea–but also a diplomatic tilt towards communist China.” He was, he said, “troubled that legislators in an ostensibly vibrant democracy would contemplate criminalizing conduct aimed at promoting democracy and providing spiritual and humanitarian succor to people suffering under one of the cruelest communist dictatorships in the world.”

Objections to the legislation are showing signs of becoming a serious embarrassment to Moon and his government. Michael McCaul of Texas, a Republican on the foreign affairs committee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summarized the bitter irony of South Korea suppressing free speech at the bidding of North Korea. “A bright future for the Korean Peninsula rests on North Korea becoming more like South Korea, not the other way around,” he said. McCaul clearly believes that members of President-elect Joseph Biden’s Democratic Party will feel much the same way. "Freedom of expression is a core democratic value,” he said, “and bipartisan majorities in the US Congress have long supported efforts to make outside information available in North Korea's closed dictatorship.”

Now it’s up to the Biden administration to decide how strongly to press the issue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We can only hope that Biden will want to deal more strongly than did Trump, who basically dropped the subject after having spoken out quite strongly about North Korea’s record in his first year as president.

It’s not likely that the U.S. will want to wade into the controversy on an official diplomatic level right away consider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fierce support for the balloon ban. What else is there to say after the unification ministry expressed “regret” at Quintana’s criticism of the bill. Surely there would be no point in the next secretary of state, Antony Blinken, getting into an exchange with South Korea’s foreign minister, Kang Kyung-wha, who stoutly defended the legislation as needed to prevent nasty incidents along the demilitarized zone.

The controversy, though, is not ending. John Sifton, Asia advocacy director of Human Rights Watch in New York, summarized the great paradox in the South Korean posi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eems more interested in keeping North Korea’s Kim Jong Un happy than letting its own citizens exercise their basic rights on behalf of their northern neighbors,” he said. “The bill does a great disservice to the people of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bipartisan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U.S. congress is expected to launch a lengthy discussion on the topic after Biden’s inauguration, and human rights activists everywhere are not going to drop the subject. Eventually, those responsible for the bill may come to realize that muzzling the balloonists was a big mistake.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