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뷰] 아프간·한반도 평화협정…美 정치인들이 속고 있다
[글로벌뷰] 아프간·한반도 평화협정…美 정치인들이 속고 있다
  • 도널드 커크  미래한국 편집위원·전 뉴욕타임스 특파원
  • 승인 2021.10.01 15: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fter Afghanistan, U.S. Politicos Think Korean War Is Still Raging, Fall for Leftist Activists Pressing for Phony ‘Peace Treaty’

워싱턴=미국의 ‘가장 긴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사실 미국의 미치광이 좌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 전쟁은 70년 넘게 계속되고 있다. 이 전쟁은 테러리스트들이 20년 전 토요일인 9월 11일 항공기로 뉴욕에 있는 세계무역센터와 워싱턴의 미 국방부를 공격해 약 3000명의 사망자를 낸 후 미국이 뛰어들게 된 아프카니스탄 전쟁이 아니라 한국전쟁을 말한다.

미국의 정치인들과 활동가들로 구성된 강력하고 활기찬 무리는 총성이 울리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로 하여금 미군이 한반도를 들락날락하고 있다고 믿게 만든다.

1953년 7월 판문점에서 미국과 중국, 북한이 서명한 문건은 평화협정이 아니라 휴전협정이었다는 논리다. 찬성론자들은 이승만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 한반도의 분단을 정당화할 휴전협정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한국은 그 이후 ‘엄밀히 따지면’ 전쟁 중에 있다고 말한다.

캘리포니아주 유력 하원의원인 브래드 셔먼은 이른바 ‘한반도 평화법’을 미 의회에 상정해 ‘한국전쟁의 정식 종식을 구성하는 구속력 있는 평화협정’ 추구를 의무화하자고 주장한다.

하원 외교위원회 중진인 셔먼 하원의원은 바이든 대통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다수의 다른 민주당 의원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는데 이들은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교착상태에 빠진 북한과의 회담을 재개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지원하고 있다.

활동가들은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수를 한국에 훨씬 더 긴 ‘끝없는 전쟁’을 종식시키는 강력한 선례로 보고 있는 가운데 미국을 북한과의 평화협정에 끌어들이려는 움직임이 탄력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아프가니스탄 철수의 대실패 여파로 이 운동은 대중성을 추구하는 곁가지 수준에서 정책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세력으로 부상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한미관계 왜곡해 북한 이롭게 하는 미국의 좌파들

스트라우브 전 주한 미 고위 외교관은 “한미동맹이 보장한 68년 평화”에도 불구하고 “미군은 북한의 또 다른 침략이나 공격을 저지하고 방어하기 위해 주둔하고 있다”고 말했다. 활동가들은 유력 정치인들에게 블링컨 국무장관이 ‘영구적 평화협정 달성을 위한 로드맵’을 제출하도록 요구하는 법안을 지지해 줄 것을 간청하며 “지금의 대한민국 평화”라는 캠페인으로 의원들을 괴롭히고 있다.  

법안 통과 후 180일 이내에 국무장관은 ‘북한과 한미 전쟁 상태의 공식적이고 최종적인 종료’를 협상하기 위해 그가 하고 있는 모든 ‘업무’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이 법안은 또한 상호간의 수도 워싱턴과 평양에 연락사무소를 설치하고 미국인들의 북한 여행을 금지하는 새로 제정된 법안을 완화하기 위해 북한과의 회담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는 셔먼과 또 다른 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인 로 칸나 의원과 함께 법안 공동후원자인 2명의  한국계 미국인 뉴저지의 앤디 김과 뉴욕의 그레이스 맹 두 의원의 체면을 고려한 것이다.

이 보고서는 ‘강력한 인도주의적 고려사항’으로 북한에 뿌리를 둔 미국 시민들이 ‘장례식, 매장 또는 다른 종교 및 가족들의 기념식에 참석하거나 목격할 수 있는’ ‘특수 검증 여권’으로 북한에 갈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해야 한다고 말한다.

칸나 지역에 사는 스트라우브는 ‘북한이 서명한 또 다른 서류’를 멸시한다. 그는 “북한 정권이 한국, 일본, 미국과 공존할 의지가 없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과의 평화협정이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하고 대신 미군이 한반도에 주둔할 이유가 없다며 한국을 떠나야 한다는 북한의 요구를 고조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북한이 코로나와 싸우면서 어떤 종류의 방문이든 개방하고, 중국과의 국경을 굳게 닫고, 대부분의 국제선 운항을 중단시킬 가능성은 한국전쟁이 아직도 벌어지고 있는 느낌만큼 희박하다. 셔먼은 그러나 휴전협정 체결 이후 북과 남으로 갈라진 비무장지대 양쪽이 조용한 상태지만 한반도는 총성이 발사되고 폭탄이 떨어지는 것처럼 ‘계속된 전쟁 상태’라고 선언한다. 

최근 몇 년간 남한에서 북한으로 발사된 유일한 발사체는 북한 김정은과 그의 아버지 김정일, 그리고 할아버지이자 체제 창건자인 김일성을 폭로하는 탈북자들에 의해 발사된 대북전단 풍선뿐이다.

남북회담을 추진하던 문 대통령은 대북전단을 날리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대용량 확성기로 북한군 수천 명을 상대로 하는 선무방송과 K-Pop 노래 방송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놀랍게도 이 법안의 지지자들은 북한이 혐오하고 북한의 조항에는 등장하지 않는 끔찍한 북한의 인권 문제를 제기하는 것을 무시하고 있다.

미 민주당 소속 연방하원 중진 브래드 셔먼 의원은 한반도 정전선언 채택 등 한국 내 좌파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하는 '포괄적인 한반도 평화구상 법안'을 상정했다./연합
미 민주당 소속 연방하원 중진 브래드 셔먼 의원은 한반도 정전선언 채택 등 한국 내 좌파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하는 '포괄적인 한반도 평화구상 법안'을 상정했다./연합

평화협정이란 마술적 사고로 북한 문제 해결 못해

김정은은 트럼프 대통령 임기 중 가장 힘 있는 시기에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비핵화를 위한 ‘핵 프로그램 해체’를 약속한 성명서에도 불구하고 핵을 폐기하지 않은 데 대해 이 법안에는 북한의 “핵·탄도미사일 관련 활동이 국제 평화와 안보에 위협이 된다”라고 명시했다.

북한은 영변 핵 단지의 원자로에 60여 개의 탄두를 비축하며 웅웅대는 소리를 내며 가동시키고 있다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경고에 아랑곳하지 않는다.

평양을 방문한 후 서울로 온 페미니스트 글로리아 스타이넴을 포함한 30여 명의 여성들이 5년전 설립한 ‘Women Cross DMZ’라는 선교단체는 문제를 너무 쉽게 여긴다.

이 단체의 창립자인 크리스틴 안은 “이 가장 긴 미국 전쟁을 종식시키는 것이 미국의 오랜 군사화를 반전시키고, 잠재적으로 재앙적인 핵전쟁의 위험을 제거하며, 미국과 중국 사이의 거대한 권력 경쟁을 무력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전 주한 미대사관의 고위 외교관이었던 스트라우브처럼 에반스 리비어는 그와 같은 말은 “북한의 핵 보유 의지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 정권과 평화선언, 평화협정 체결이 한반도의 모든 핵심 안보에 대한 우려를 어떻게든 마술적으로 해결해 줄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마술적 사고와 순진한 정책 제안이 북한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할 것이다.                    

WASHINGTON= America’s “longest war” is far from over. In fact, if you listen to America’s looney left, it’s been going on more than seven decades. We’re talking about the Korean War, not America’s plunge into Afghanistan 20 years ago as of Saturday, September 11, after terrorists flew planes into the World Trade Center in New York and the Pentagon, killing nearly 3,000 people.

A forceful, energetic band of American politicians and activists would have the world believe US forces are still rampaging up and down the Korean peninsula even though no shots are being fired. The logic behind this trope is the document the Americans, Chinese and North Koreas signed in July 1953 at the “truce village” of Panmunjom was an armistice, not a peace treaty.

Proponents love to say all of them, plus South Korea, whose first president, Syngman Rhee, refused to recognize a truce that would sanctify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technically” at war ever since.

That’s the argument for what’s called th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ct” being introduced into the US Congress by Brad Sherman, an influential California representative, that would mandate pursuit of “a binding peace agreement constituting a formal end to the Korean War.” Sherman, the ranking member of the foreign affairs committee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has the enthusiastic backing of a number of other members of Congress, all Democrats with close ties to President Joe Biden, who’s doing all possible to support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s fervent bid to jump-start stalled talks with the North.

Not surprisingly, the drive to draw the US into a peace treaty with the North has gained momentum as activists see the US withdrawal from Afghanistan as a powerful precedent for ending what they say is a far longer “endless war” for Korea. In the aftermath of that debacle, the movement is gaining traction, rising from the level of a publicity-seeking fringe to a policy-influencing force.

That’s despite “68 years of peace, guaranteed primarily” by the alliance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said David Straub, a former senior U.S. diplomat in Korea, along with “the presence of the US military to help deter and defend against another North Korean invasion or attack.”

“Korea Peace Now” is the name of the campaign in which activists are haunting congressional office buildings, pleading with powerful politicians to support a bill that would require Secretary of State Antony Blinken to submit “a roadmap for achieving a permanent peace agreement.”  

Within “180 days” after passage of the bill, the secretary of state would have to come up with “an accounting” of all he’s doing to negotiate “a formal and final end to the state of war between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S.” The bill also mandates talks with North Korea on setting up liaison offices in each other’s capitals, Washington and Pyongyang, and for easing a newly renewed ban forbidding U.S. citizens from North Korea.

That’s a bow to two Korean-American members of congress, Andy Kim of New Jersey and Grace Meng of New York, co-sponsors of the bill along with Sherman and another California congressman, Ro Khanna. “Compelling humanitarian considerations,” it says, should qualify U.S. citizens with roots in North Korea to go there on “special validation passports” for “attending or witnessing funerals, burials, or other religious and family commemorations of relatives.”

Straub, who lives in Khanna’s district, scorns “another piece of paper signed by North Korea.” The problem, he said, remains “the absence of will on the part of the North Korean regime to co-exist with South Korea, Japan, and the U.S.” A peace treaty with North Korea, he believes, “would accomplish nothing good and instead result in the North Koreans escalating their demands that the US leave South Korea on the grounds that its presence is no longer needed.”

Chances of North Korea opening up to visits of any sort while fighting COVID-19, tight-shutting its border with China and halting most international flights are about as far-fetched as the impression the Korean War is still being fought. Sherman, however, declares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in a “continued state of war” as if shots were being fired and bombs falling even as quiet reigns on both sides of the demilitarized zone that’s divided North from South since the signing of the truce. 

The only projectiles fired from South to North in recent years have been balloons launched by defectors bearing leaflets exposing North Korea’s leader Kim Jong-un, his father Kim Jong-il and grandfather, regime founder Kim Il-sung. Moon, in pursuit of North-South talks, rammed through legislation banning the leaflet drops and ordered mega-loudspeakers to stop blasting K-Pop songs along with propaganda messages for the benefit of thousands of North Korean troops dug in across the line.

Incredibly, however, advocates of the bill totally ignore North Korea’s appalling record on human rights, a term that North Korea abhors and does not appear among its provisions. 

As for the failure of Kim Jong-un to dismantle his nuclear program despite the statement that he and Donald Trump, in the brightest moment of Trump’s presidency, signed in Singapore in June 2018 pledging to work for “denuclearization,” the bill says only the North’s “nuclear- and ballistic-missile-related activities…. pose a threat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Never mind word from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that the North’s reactor at its Yongbyon nuclear complex is humming away, adding to a stockpile of about 60 warheads.

None of which is an issue for a group called Women Cross DMZ, whose name dates from a mission five years ago by about 30 women, including Gloria Steinem, first to Pyongyang and then to Seoul. Putting an end “to this longest US war,” said Christine Ahn, founder of the group, “can help reverse America’s long march of militarization, remove the risk of a potentially catastrophic nuclear war and neutralize the great power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Such talk “ignores Pyongyang's determination to remain a nuclear power,” said Evans Revere, like Straub a former senior diplomat in Seoul. “It also seems based on the belief that declaring peace and signing a peace treaty with the Pyongyang regime will somehow magically resolve all of the core security concerns on the Korean Peninsula. Magical thinking and naive policy proposals are not going to solve the North Korea problem.”                               

 번역  미래한국 편집부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