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뷰] 북한인권위원회 창립 20주년의 의미
[글로벌뷰] 북한인권위원회 창립 20주년의 의미
  • 도널드 커크 미래한국 편집위원·전 뉴욕타임스 특파원
  • 승인 2021.11.05 13: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urns 20 Amid Hopes It Won’t Be Needed 20 Years from Now as Kim Jong Un Tightens Screws on Freedom, Defectors

워싱턴=북한인권위원회 창립 20주년 기념 만찬에서 되풀이되는 주제는 2041년까지 북한인권위원회가 필요 없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때쯤 위원회의 그레그 스칼라튜 사무총장과 이사회 위원들은 북한을 세계 최악의 인권침해국으로 만들 수 있는 조건들이 사라지기를 바라고 있을 것이다. 그때쯤이면 북한이 세계에 개방되고 자유민주주의 사회로 변화하게 되어 그런 위원회의 필요성이 사라진 지 꽤 오래 될 것이다.

하지만 북한에서의 삶이 그 정도의 자유에 이를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지나친 희망 사항이다. 또한 20년 안에 한국과 북한이 하나의 진정한 자유사회로 존재할 가능성은 전혀 없어 보인다.

한국의 역사는 놀라움으로 가득 차 있어 한반도가 핵전쟁의 참화에서부터 평화롭고 통일되고 자유롭고 개방적인 국가로 되기까지 어떤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겠지만 한국과 해외의 낙관적인 분석가들과 경험자들의 상상을 초월하는 꿈이다.

이 행사에 참석한 저명한 초청인사들은 현장 발언이나 녹화방송에서 북한인권위원회가 해온 모든 일과 빈곤에 허덕이는 것뿐만 아니라 체포, 고문, 수감 등의 지속적인 위협 속에서 살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실상을 알리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 주재 전직 외교관이 회견에서 밝힌 대로 북한 당국이 주관하는 여행이 아니더라도 미행당하지 않고는 정말 어디에도 갈 수 없다.

누군가는 항상 여행자가 어디에 있고 무엇을 하고 있는지 보고하기 위해 거짓말을 할 것이다. 혹시 평양에서 길을 잃는다면 미행하던 사람이 기꺼이 길을 알려 줄지도 모른다. 절대 길을 잃지 않을 것이다.

북한인권위원회 컨퍼런스 모습/HRNK
북한인권위원회 컨퍼런스 모습/HRNK

아직은 갈 길이 먼 북한인권 운동

그 제도는 엄청나게 어리석고 역생산적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모든 시민에 대한 지배 엘리트들의 막강한 힘을 보여주는 하나의 세부 사항일 뿐이다.

물론 다른 이들이 지적했듯 K-pop의 압도적인 힘과 매력, 그리고 불법 방송, 테이프, DVD 심지어 정부의 모든 안보 장비들과 노동당의 감시 아래 운영되는 전화와 인터넷 접속을 통해 북한에 들어가는 뉴스와 시청 덕분에 남한 문화가 북한에 침투했다.

그러나 적발되면 처벌이 심하고 보안이 삼엄해 일부 희망적인 관찰자들이 믿고 싶어 할 정도로 많이 침투되지는 못했다. 북한의 보위부 요원들이 진정한 예배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기독교를 말살시켰듯이 그들은 또한 북한 정권의 힘을 심각하게 약화시킬 수 있는 한국, 미국, 그리고 다른 곳으로부터 체제를 흔드는 영향력을 대부분 봉쇄했다.

북한인권위원회와 과거 탈북난민보호운동본부였던 세이브엔케이 등 단체들이 10년 가까이 활동했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북한 주민들의 자유가 10여년전 아버지 김정일이 사망 후 김정은이 권좌에 오르기 전보다 줄었다는 점이다.

1945년 소련 점령 당국이 김일성을 세운 이후 김씨 왕조 역사에 걸쳐 수백만 명이 대규모 강제수용소에 수감됐지만 김정은은 아버지와 할아버지보다 탈출로를 폐쇄하는 데 더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유엔의 대북인권 결의안 채택에도 문재인 정부는 소극적이다.
유엔의 대북인권 결의안 채택에도 문재인 정부는 소극적이다.

북한인권 진실을 드러내는 데 걸림돌 된 한국 정부

지난 몇 년 동안 수천명의 탈북자들이 중국에 들어갔지만 요즘은 매년 소수의 운 좋은 사람들만이 탈출할 수 있다. 현재 3만 명 이상의 북한 주민들이 한국으로 탈북했으며 수천명이 더 중국에 남아 있고, 중국 당국이 이들을 발견하면 북한 체제의 손아귀로 돌려보내라고 명령한 가운데 탈북자들은 계속 도피하고 있다.

한때 거액의 뇌물과 접촉으로 북한 사람들을 중국을 통과시킬 수 있었던 해결사들은 이제 거의 아무도 돕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김정은이 두만강이나 압록강을 건너 중국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리적 장벽을 건설하라고 지시했고 북한 국경수비대는 일상적인 뇌물을 받기를 두려워하고 있다.

‘HRNK’ 라는 이니셜로 널리 알려진 북한인권위원회가 집행한 프로그램에서 알 수 있듯이 북한 내부에서 일어난 학대에 대한 기록을 폭로하는 것과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북한의 기본적인 인권 침해에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는 의심할 여지 없이 철저한 연구를 바탕으로 권위 있는 정보를 제공했지만 그것이 어떤 영향을 미쳤고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북한과의 종전선언, 심지어 평화협정까지 옹호하는 사람들은 유엔의 보고서를 선전으로 쉽게 치부한다.

유엔 인권이사회에 있는 북한 외교관들은 미국에서 북한의 적들에 의해 저질러진 거짓이라고 쉽게 비난한다.

북한의 인권 기록을 폭로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종전선언과 함께 대화 추진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김정은을 불쾌하게 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현 한국 정부의 정책이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는 탈북자들이 북한에 전단지를 가득 실은 풍선을 날려 보내는 것을 막았고 한국의 대중 매체, 특히 공영 TV 방송국이 북한에 대한 불리한 보도를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얼마나 오랫동안 문명사회에서 일상적으로 행해지는 권리를 부정하면서 자국민들을 배신할 수 있을까. 이 행사에는 북한에서 자유가 꽃피우는 동안 HRNK가 앞으로 20년간 존재할 필요가 없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숨겨진 수용소(Hidden Gulag)의 저자 데이비드 호크도 참석했다.

강제징용제도가 처음 드러난 것은 물론 북한인권위원회의 노력이 컸다. HRNK는 비록 여전히 그 추세를 뒤집을 수는 없더라도 거기서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하고 아는 데 크게 기여했다.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urns 20 Amid Hopes It Won’t Be Needed 20 Years from Now as Kim Jong Un Tightens Screws on Freedom, Defectors

WASHINGTON = A recurrent theme at a lavish dinner marking the 20th anniversary since the founding of the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was how great it would be if the committee by 2041, 20 years from now, had outlived its usefulness. By that time, Greg Scarlatoiu, executive director, and other members of the HRNK board would like to hope if not really believe the conditions that make North Korea the world’s worst violator of the rights of its citizenry would have vanished. By then, North Korea would have opened up to the world, evolved as a free democratic society, and the need for such a committee would have long since disappeared.

It would be an extreme case of wishful thinking to believe that life in North Korea could ever reach that level of freedom. Nor would it seem at all likely that the two Koreas,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might in two decades unite and exist as a single genuinely free society. Korean history has been so full of surprises that it might not be wise to rule out any scenario, ranging from the devastation of a nuclear war up and down the Korean peninsula to the rise of a peaceful, united, free and open Korean nation, but that’s a dream that would appear beyond the imagination of even the most optimistic of analysts and experts, Korean or foreign.

A stellar cast of guests at the dinner, talking live or videotaped in advance, spoke highly of all the work conducted by the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the need to do far more to publicize the needs of the mass of North Koreans living not only in poverty but under the constant threat of arrest, torture, jailing and worse. As a former diplomat in Seoul told the gathering, even if you’re not on a tour organized by North Korean authorities, you really cannot go anywhere without being followed. Someone will always lie in wait to report where you are and what you’re doing. If you happen to be lost in Pyongyang, the person who’s been tracking you might be happy to tell you how to get where you’re going. You’ll never get lost.

That system might appear spectacularly foolish and counter-productive, but it’s just one detail that shows the depth of the power of the ruling elite over all its citizens. Surely, as others noted, South Korean culture has penetrated North Korea thanks to the overwhelming power and appeal of K-pop as well as news and views that gets into the North via illicit broadcasts, tapes, DVD’s and even telephone and internet links that manage to operate beneath the radar of the all-seeing security apparatus of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Workers’ Party.

The penalties for discovery, however, are so high and the security so tight that such breakthroughs may not be as frequent as some hopeful observers would like to believe. Just as North Korea’s legion of security agents has managed to smother Christianity to the point at which true worship is all but impossible, so they have also largely warded off the invidious influence of anything from South Korea, the U.S. and elsewhere that might seriously undermine the power of the Kim regime.

A deep irony of the work of the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other groups such as Save North Korea, previously the Commission to Help North Korean Refugees, is that there may be less freedom for North Koreans now than before Kim Jong Un’s rise to power after the death of his father Kim Jong Il nearly ten years ago. Yes, millions over the history of the Kim dynasty since Soviet authorities installed dynasty founder Kim Il Sung in 1945 have been incarcerated in a vast gulag system, but Kim Jong Un seems to have been more successful than his father and grandfather in closing down escape routes.

These days only a lucky few manage to get out each year compared with thousands that made it into China in bygone years. By now more than 30,000 North Koreans have defected to South Korea while thousands more remain in China, constantly eluding Chinese authorities eager to return them to the clutches of the North Korean system when they find them. The fixers, who once were capable of getting North Koreans through China by massive bribes and contacts, now seem almost incapable of helping anyone. Kim Jong Un has ordered construction of formidable physical barriers to get across the Tumen or Yalu (Amnok) rivers into China, and North Korean border guards are afraid to accept the normal bribes for looking the other way.

As noted in the program staged by HRNK, as the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is widely known, it’s one thing to expose the long record of abuses in North Korea and quite another to do something about them. The UN Commission of Inquiry into North Korea’s appalling assault on the most basic human rights no doubt provided authoritative information based on exhaustive research, but what impact has it had, what difference has it made? Those advocating an end-of-war agreement with North Korea, even a peace treaty, have no trouble dismissing the UN report as propaganda. North Korean diplomats at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have no trouble denouncing what they regard as falsehoods perpetrated by the North’s enemies in the U.S. Fred and Cindy Warmbier, whose son Otto suffered through a year and a half in a North Korean prison, only to die soon after he was returned home in a coma, denounced the end-of-war idea as "nonsense," but what can anyone do about the horrors of North Korean life beyond mere words?

Among the greatest impediments to exposing the North’s human rights record is the current policy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fraid of offending Kim Jong Un while doing all it can to promote dialog along with the end-of-war agreement. In that spirit President Moon Jae-in stopped defectors from firing balloons laden with leaflets over North Korea and has gotten the South’s mass media, notably the government-controlled TV networks, to refrain from adverse reporting on the North.

But how long can North Korea go on betraying its own people, denying rights that are routine in any civilized society? David Hawk, author of the classic “Hidden Gulag” on the North’s vast prison system, was among those at the dinner hoping that HRNK would not have to exist for another 20 years while freedom flowered in the North. It was, of course, largely due to the efforts of HRNK that the gulag system was first revealed. The organization has contributed mightily to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what’s really going on up there even if it’s still not able to reverse the trend.

번역 미래한국 편집부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