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의사’ 꿈 이룬 탈북의사
‘남한의사’ 꿈 이룬 탈북의사
  • 미래한국
  • 승인 2009.02.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제 진짜 탈북에 성공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북한에서 의사, 한의사였던 탈북민 3명이 각고의 노력 끝에 남한에서 의사, 한의사 국가고시에 나란히 합격했다.함흥의학대학을 졸업하고 함경남도 지역에서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의사로 활동하다 탈북한 정성일 씨(39)는 지난해 낙방했으나 올해 제73회 의사 국가고시에서 뜻을 이뤘다.2007년 시험 도전을 마음먹은 뒤 “하루에 4시간 자며 죽기 살기로 공부했다”는 정 씨는 처음 남한에 들어와선 갈 길을 찾지 못해 방황했다. 북한 의사 경력을 인정받지 못해 곧바로 의사 시험을 칠 수 없었기 때문.다행히 탈북민 출신 의사나 한의사들도 심사를 통해 학력이 인정되면 시험을 볼 수 있도록 북한이탈주민보호정착지원법의 시행령이 2007년 개정돼 지난해 응시가 가능해졌다.정 씨는 그 사이 공사판에서 노동하거나 예식장에서 결혼식 촬영기사로 잠시 일하기도 했지만 “마음 한구석에는 뭔가 허전함”을 지울 수 없어 적성검사까지 받아본 끝에 “내 길은 오직 이것 밖에 없다”는 결심을 굳히고 “뒤 돌아보지 않고 공부만 했다”고 말했다.막상 결심은 했지만 의사 되기는 쉽지 않았다. 전문직 탈북민들에게 공통된 일이지만 남북한의 용어가 워낙 달라 어려움이 컸다. 외래어가 많은 의학용어는 처음 접하는 말이 많았다. 그는 “아직 남한 실정을 잘 몰라 조심스럽지만 외래어보다는 쉬운 우리말을 더 많이 쓰면 환자들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지인의 소개로 알게 된 군의관 A씨의 도움이 컸다. 정 씨는 “공부하다 모르는 걸 물어보면 언제나 친절히 대답해 줬고 내 수준에 맞는 책을 추천해 줬다”며 “너무 감사하다”고 말했다.부산의 한 종합병원 외과 과장 B씨, 산부인과 병원장 C씨도 빼놓을 수 없는 은인이다. “책만 읽어선 알기 힘든 임상 경험을 들려줘 공부에 큰 도움이 됐고 슬럼프에 빠질 때마다 식사를 함께 하면서 격려해줬습니다.” 합격 통보를 받고 저도 모르게 눈물이 났다는 정 씨는 “이제 진짜 탈북에 성공했다는 느낌”이라며 “열심히 하면 누구나 꿈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북한에서 한의사였던 여성 2명도 제64회 한의사 국가고시에 합격, 탈북민 사회의 ‘여풍(女風)’을 보여줬다. 청진의학대학 동의(東醫)학부를 졸업하고 8년간 한의사로 활동하다 탈북, 2002년 입국한 김지은 씨(43)는 세명대 한의대(본과 1학년)에 편입해 4년간 정규과정을 밟았다.김 씨는 “한의학은 ‘민족 의학’인 만큼 남북 사이에 같은 점이 많지만 다른 점도 있다”고 말했다. “남한은 동의보감과 같은 고전에 수록된 내용을 한문 원전을 보며 배우지만 북한에선 원전 내용을 한 데 묶어 교과서로 만들어 본다는 게 우선 다릅니다.” 또 “남한은 이론 중심이라면 상대적으로 북한은 실기 위주인 점에서 교육방법도 약간 차이가 있다”고 김 씨는 말했다.북한은 주관식 시험을 치는 반면 남한은 객관식 시험이 많은 것도 적응이 쉽지 않았다. 특히 북한에선 한문을 사용하지 않아 공부할 때 한문 해독에 어려움을 겪었고 외국어로 러시아어를 배웠던 터라 영어도 익숙하지 않았다.하지만 “15~20살 아래 동급생들이 누나, 언니라고 부르면서 도와준 덕분에 즐겁게 학교를 다녔다”고 김 씨는 고마워했다.“환자들과 마음을 나누는 한의사가 되고 싶다”는 그는 “남한과 북한에서 모두 한의대를 졸업한 사람은 아마 제가 처음일 것”이라며 “이 경험을 잘 살려 현장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찾고 싶다”고 밝혔다.함흥의학대학에서 한의사를 양성하는 고려학부를 졸업하고 3년간 근무하다 탈북, 2004년 남한에 온 이은지 씨(가명·33)는 올해 처음 도전해 당당히 합격했다.이 씨는 “남과 북의 한의학은 비슷한 면이 많아 공부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았다”고 한다. 도리어 시험 정보나 자료를 구하기가 힘들어 “여러 한의대를 찾아다니며 문의하는 과정에서 속도 많이 상했다”고 ‘독학’의 고충을 토로했다.“중국에서 한의학을 공부한 뒤 국내 시험을 보려는 학생들이 많아서인지 한의대가 ‘외부인’에 폐쇄적인 것 같다”는 것.그는 ‘양방과 한방의 교류·통합’의 정도를 남북 한의학의 가장 큰 차이로 꼽았다. 북한에선 3년간 서양의학을 배운 뒤 나머지 3년간 한의학을 배우지만 “남한에선 양방과 한방이 철저히 분리돼 있다”고 이 씨는 지적했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