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비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비밀
  • 한정석 편집위원
  • 승인 2013.09.03 09: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국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The Encyclopedia Britannica)은 가장 오래된 영어로 쓰인 백과사전이다. 브리태니커는 1768년에 초판이 나온 이후 계속 쓰여서 100명의 전속 집필자와 4000명의 기고자를 두었다. 그 가운데 110명의 노벨 수상자가 있었고 5명의 미합중국 대통령이 있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 근대 지식문명에 미친 영향력은 두말할 필요조차 없다.

그러한 브리태니커지만 사실 그 탄생과 성공의 배경은 우리의 상식을 철저히 배반한다.

브리태니커는 산업혁명이 꽃피던 런던의 대형 출판사가 아니라 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라는 아주 낙후된 시골의 작은 출판사에서 태어났다. 그것도 당대 최고의 지식인들이 아니라 마을의 의사, 목수, 사업가, 목사들과 같은 평범한 사람들에 의해서였다. 믿어지지 않는가? 그러면 이제 그 이야기를 해보자.

1768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 사는 28세 청년 스멜리(William Smellie)는 작은 인쇄소를 하던 중 백과사전 출판에 관심이 생겼다.

그는 자신이 모은 전 재산과 주변의 투자를 받은 돈을 들고 런던으로 찾아갔다. 거기에는 당대에 이름을 날리던 저명한 지식인들이 있었다. 바로 볼테르와 벤자민 프랭클린, 사뮤엘 존슨과 같은 이들이었다. 스멜리는 그들에게 거금의 집필료를 주고 계약을 했다.

초판은 기대 이하

하지만 결과는 기대 이하였다. 초판을 찍고 보니 오류나 부실이 너무나 많았던 것이다. 예를 들어 담배에 대해서는 ‘그것이 뇌를 마르게 해서 검은 박막으로 만든다’라는 뜬금없는 내용이 있는가 하면 여자(woman)에 대한 설명은 딱 4개의 영문 단어, ‘여성인 사람’(The female of man)으로 끝나는 식이었다.

스멜리는 주변의 비난으로 브리태니커 초판을 포기해야만 했다. 하지만 그의 수중에 남은 돈은 거의 없었다. 스멜리는 포기하지 않고 고향인 에든버러 대학에 있는 한 토론 모임을 찾아갔다.

그 모임은 매주 의사, 목사, 사업가, 목수, 학자 등이 모여 한 주제를 놓고 저마다 자신이 조사한 내용을 가지고 토론을 했다. 스멜리는 그들에게 백과사전 집필을 부탁했고 토론회원들은 흔쾌히 받아들였다. 그들에게 돈은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다만 어떤 이들은 익명으로 집필하겠노라고 했다.

그렇게 해서 다시 나온 3권의 두꺼운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영국 전체를 놀라게 했다. 그 지식의 정확성과 관련 사례, 그리고 설명은 런던 지식인들의 입을 다물지 못하게 했다. 브리태니커는 그렇게 성공의 길을 찾았던 것이다.

브리태니커를 만든 그 토론 모임의 이름은 ‘사변(思辨)협회’(speculative society)였다. 이 사변협회에서 스코틀랜드 계몽주의라는, 당시 유럽을 휩쓴 프랑스 계몽주의와는 다른 전통이 탄생했다. 그들은 형식 논리 중심의 이성적 추론보다는 경험적 사실과 관습, 그리고 전통이 만들어 내는 자생적 질서(spontaneous order)에 주목했다.

그들은 프랑스 계몽주의가 중요시하는 ‘평등’의 이념보다 도덕 감정과 공감력을 가진 개인들의 ‘자유’와 ‘공동선’에 주목했다. 오늘날 자유주의를 의미하는 개인주의(Individualism)는 바로 이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의 작은 사변협회 토론 모임으로부터 싹튼 것이다.

당시 에든버러 사변협회의 토론 주제 리스트가 남아 있다. 그들의 주제는 이념에 관한 것이 아니라 행복과 도덕의 실현을 위해 어떤 교양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1764년의 한 토론의 주제는 ‘결혼과 독신 중에 어느 편이 더 덕성을 높일 수 있는가’였다. ‘민주국가와 독재국가 중에 어느 체제가 더 예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가’와 같은 주제도 있었다.

이러한 삶의 문제에 대해서 에든버러 사변협회 회원들은 역사, 심리, 철학, 신학, 문학 등 실로 다양한 영역을 동원해 해답을 찾고자 했다.

그들의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전통은 데카르트의 이성만능주의가 아니라 제한적 이성론에 입각해 있었다. 즉 인간의 이성은 이 세상의 모든 질서를 완벽하게 이해하도록 설계되지 않았으며 이성이란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문화적으로 진화된 현상으로 이해했다.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영향

베이컨의 ‘아는 것이 힘’이라는 성찰로부터 데이빗 흄과 퍼거슨, 그리고 아담 스미스가 그러한 스코틀랜드 계몽주의를 발전시켰고 그 전통은 스코틀랜드의 대기근으로 인해 독일과 유럽 전반 그리고 미국에 퍼져 나갔다.

특히 미국에서 그러한 스코틀랜드 계몽주의는 보스턴과 필라델피아에 정착해 미국 독립혁명 정신의 근간이 되기도 했다. 아울러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그러한 스코틀랜드 계몽주의는 자유주의의 이름으로 경제학자 칼맹거와 미제스 그리고 하이예크에 이어졌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밀튼 프리드만에 이른다.

물론 스코틀랜드 계몽주의가 경제학에만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었다.

오늘날 서구문화, 즉 ‘western’이라 불리는 모든 근대 문명은 바로 이 수많은 익명의 집단지성, 스코틀랜드 계몽주의가 구현했다는 평가는 다름 아닌 영국의 진보적 잡지 <가디언>이 했다.

결국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편찬한 그 지성은 오늘날 진보가 믿어 의심치 않는 이성의 거대담론 정신이 아니라 사실을 조사하고 비교하며 역사와 객관적인 팩트를 중요시하는 자유주의 정신의 업적이었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우리는 의문이 든다. 어떻게 그 낙후된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그러한 지성이 만개할 수 있었을까. 그 배경은 바로 스코틀랜드 장로교의 사회적 공헌에 있었다.

17세기 초반에 스코틀랜드의 통치권자인 로즈베리 가문은 재정난으로 주권을 영국에 1만2000파운드에 팔아 넘겼고 이를 계기로 스코틀랜드와 영국 의회가 합쳐졌다. 그러자 스코틀랜드에 영국 산업혁명의 물결이 밀려왔고 통치를 포기한 정부를 대신해 교회들은 적극적으로 성경학교를 지었다.

그 결과 20여년이 지난 17세기 중엽 스코틀랜드는 유럽에서 가장 문맹률이 낮은 지역이 됐다. 전국민의 75%가 글을 읽고 쓸 수 있었던 것이다. 성경을 읽으려면 글을 알아야 하니까 말이다.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전통의 보수적 자유주의는 프랑스 계몽주의의 진보적 자유주의와는 다르다. 개항기 미국의 선교사들로부터 깨우쳤던 이승만 대통령의 <독립정신>의 철학적 기초도 바로 이 스코틀랜드 자유주의에 있다고 하겠다.

한정석 편집위원 kalito7@futurekorea.co.kr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