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평화공원에 과학계 참여해야”
“DMZ 평화공원에 과학계 참여해야”
  • 김주년 기자
  • 승인 2013.09.13 10: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이브엔케이‧과총 '남북 과학기술계 통합방안' 논의
 

사단법인 세이브엔케이(이하 SNK)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통일부와 본지 <미래한국>이 후원한 ‘남북 과학기술계 통합방안’ 원탁회의가 지난 8월 28일 광화문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클럽에서 개최됐다.

이날 원탁회의에서는 지난 7월 24일 포럼에서 논의되지 못했던 내용들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좌장을 맡은 박성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은 “지금 북한의 실체를 이해하기 위한 국가통계가 미흡하며 북한의 민간 GDP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북한 통계시스템에 대한 조사연구가 필요하고 통일 이후 국가통계 시스템을 어떻게 가져갈지 연구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에 강영실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연구원은 “정보획득이 한국에서는 쉽지 않은데 탈북자들이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온다고 해도 연구 및 활동 자금이 부족해서 잘 안 되는 경우가 많다”고 언급했다.

민철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급격한 통일의 경우에 대비, 인적자원을 최적으로 배치해서 미래 비전을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며 “남한과 제3국으로의 급속한 이동을 최소화시키고 기존 인력에 의한 북한 시스템의 안정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흥광 NK지식인연대 대표는 “정치.사회와는 달리 과학계는 급격한 통일에 대해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다”고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지금부터 협력하고 관계가 형성되면 충분한 정보를 장악하고 통일시 필요한 요소들을 전방위적으로 활용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한현숙 북한전통음식문화연구원 연구원은 “북한에선 과학계 수재들과 최고 능력자들이 군부로 몰리고 그 중에서도 천재들이 핵개발과 IT 분야에 몰입한다”고 전제하고 “탈북자들 중에 핵개발 경력이 있는 사람이 없는걸 보면 북한에서 핵개발 기술자들에게 대한 대우가 상당히 좋은 게 확실하다. 따라서 통일 이후 대한민국 과학계가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북한 핵기술자들을 특별 관리함으로써 제3국으로의 이탈을 막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곽재원 한양대 교수는 “DMZ 평화공원이 조성될 경우 과학계가 신속하게 정부와 연계하고 협력할 부분이 많을 것”이라고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이에 참가자들은 모두 공감했다.

박성현 원장은 “정부 담당 부처에서 과학을 잘 모를 수 있으므로 우리가 주도적으로 요청을 해야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고 이장재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도 “DMZ 평화공원에 과학기술 분야가 하나의 영역으로 들어가도록 관련 단체들과 협력해서 어젠다화를 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흥광 대표도 “의외로 큰 비용이 들지 않는 사업이기 때문에 전격 제안을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 행사는 SNK가 진행 중인 4개 전문직 분야의 남북통일방안 마련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남북한 출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포럼과 원탁회의로 나뉘어 열린다. 앞서 지난 7월 24일에는 과총 강당에서 남북 과학계 통합방안을 논의하는 포럼이 개최된 바 있다.

김주년 기자 anubis00@naver.com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