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과 세계 기업들의 차이점
삼성과 세계 기업들의 차이점
  • 미래한국
  • 승인 2014.09.02 20: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널드 커크 편집위원·전 뉴욕타임스 특파원

세계적인 기업에서 이뤄지는 권력 이전은 한 나라 혹은 한 사회에서 이뤄지는 것과 유사하다. 최고위에 있는 한 사람의 사망이 임박하게 되면 이를 둘러싼 긴장이 고조된다. 친척들, 간부들, 자문들,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내부 인물들이 외부인들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복잡한 과정에서 자신들의 역할, 영향력, 기회를 가려내야 한다.

요즘 이와 같은 일이 지구상의 다른 모든 곳에서와 마찬가지로 삼성의 권력층에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삼성은 우리에게 어느 정도 친숙한 미국의 기업제국들과는 현저하게 다른 차이점이 있다. 무엇보다 이건희 회장은 선친이 설립한 회사를 물려받아 한국의 거의 모든 사업에 손을 대는 ‘재벌’이라는 세습적 기업제국을 대표하는 인물이라는 점이다.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미국에도 세습되는 회사들은 많다. 하지만 세습 자체가 그렇게 강조되지는 않는다. 46세의 한 후계자가 세계에서 가장 큰 전자회사뿐 아니라 조선, 보험, 건축 등 수많은 회사들을 포함한 거대 기업들을 인수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는 것을 들어보지 못했을 것이다.

재벌(chaebol), 그 독특한 이름

이건희 회장의 외아들인 이재용은 매출액이 한국 국내총생산의 16%을 차지하는 삼성전자 부회장이다. 후계자 리스트에서 대기하고 있는 가족은 그뿐만이 아니다. 그에게는 2명의 여동생이 있다. 한 명은 삼성 제국의 주회사인 에버랜드 사장(이서현)이고 또 다른 한 명은 신라호텔 대표(이부진)다. 포브스가 선정한 한국의 50대 부자 중 아들 이재용은 보유자산이 50억달러로 한국에서 3위다. 첫 번째 부자는 순자산 130억달러를 보유한 이건희 회장이다.

모든 곳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장자 상속은 인생에서 가족을 중시하는 한국의 유교문화권에서는 특히 강조되는 것 같다. 재벌을 설립한 사람들은 직관적으로 자신의 아들들을 은행계좌, 투자, 신용기금뿐 아니라 회사를 직접 경영하는 데 적합한 후계자로 봤다.

이 문제는 이건희 회장보다 故 정주영 회장의 경우에 조금 더 복잡했다. 왜냐하면 그가 사망했을 때 8명의 아들 중 6명이 살아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는 오래 전에 각 아들들이 기업들을 하나씩 맡도록 정리해놓았다. 장남인 정몽구는 현대자동차를 맡았다. 현대자동차는 현대철강, 현대엔지니어링 및 역사적으로 현대의 ‘모기업’인 현대건설을 포함하고 있다. 정몽구는 포브스가 선정한 한국의 부자 리스트에서 자산 70억달러로 2위다. 그의 아들 정의선은 아버지 회사 그룹에서 부회장인데 보유자산 40억달러 이상으로 한국에서 4번째 부자다.

빌 게이츠가 마이크로소프트를 자신의 아들과 두 명의 딸에게 상속해준다는 것을 들어보지 못했을 것이다. 보유 순자산 700억달러로 세계 최고 부자인 게이츠는 자신이 죽은 뒤에 자녀들이 일하지 않고도 살 만큼의 신용 기금을 세 자녀에게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왔다. 애플 설립자인 故 스티브 잡스의 네 자녀들 역시 각각 제 길을 가고 있다. 그의 아들 리드(Reed)는 아버지가 암으로 죽은 것을 본 후 암 전문가가 되길 원하고 있다.

세계적 거대기업인 스탠더드 오일을 설립한 존 D. 록펠러를 보라. 그의 자손들도 엄청나게 부자지만 그는 상당한 돈을 록펠러 재단과 1890년에 그가 공동으로 설립한 시카고 대학에 기부했다. 52년 전 샘 월튼이 설립해 현재 세계 최대의 소매체인이 된 월마트를 통해 부자가 된 월튼 가족들의 경우를 보자. 가족들이 고위직 일부에 있지만 재벌과 달리 월마트는 다른 산업과 사업에 손을 대지 않고 있다.

미국의 경우, 그리고 피케티

한국의 시스템이 극단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유사한 패턴들은 모든 사회에 다 있다. 베스트셀러인 ‘21세기 자본론’(Capital in the Twenty First Century)의 저자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는 미국에서 소득 차이가 그 어디보다 많이 벌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영향력 있는 잡지인 ‘The Atlantic’은 6월호에서 그의 발표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미국에서 상위 1%의 소득 증가는 아래 단계 사람들의 증가율을 능가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을 압도하고 있는 자들은 최고 소득자 1%의 1%이다.”

잡지는 그 가운데 절반은 성장 혹은 주식시장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수입을 가진 금융이나 일반 기업체에서 일하고 있다며 “당신이 더 부자가 될수록 당신의 부는 급여가 아니라 주식에서 더 창출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드렉 톰슨(Derek Thompson)이 쓴 기사의 제목은 “부자는 지구를 어떻게 물려받을 것인가(How The Rich Shall Inherit The Earth)”이다. 그는 “우리는 부가 우리 노동의 산물이라고 믿고 싶어 한다. 하지만 소득 피라미드의 최고위층 사람들이 벌어들이는 수입은 우리가 생각하는 노동의 산물과는 맞지 않는다”고 썼다.

미국이나 영국 혹은 다른 자본주의 시스템이 한국보다 더 낫거나 공평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저 다를 뿐이다.


도널드 커크 편집위원·전 뉴욕타임스 특파원
번역 이상민 기자 proactive09@gmail.com


Systems Differ, Results the Same: Wealth, Heredity Count in U.S. Too

The transition of power in a global business empire is similar to that in a nation or society. As tension gathers surrounding the imminent demise of the great man at the top, relatives, executives, advisers, inside figures whom no one ever heard of, have to sort out their roles, their influence, their chances in a complex process that few if any outside observers are going to understand.

It's that way these days in the corridors of power in Samsung just as it would be anywhere else on earth. There are differences, though, in which Samsung has to differ markedly from American business empires with which we are more or less familiar. For one thing, Lee Kun-hee epitomizes a distinctly Korean phenomenon, the hereditary chaebol chieftain who built up an empire founded by his father with tentacles in virtually every area of Korean commerce and industry.

There are plenty of hereditary enterprises in the United States, as elsewhere, but the emphasis on heredity is not so sharply pronounced. You don't hear of a 46-year-old waiting to take over a conglomerate that includes not only the world's biggest electronics company but a host of other endeavors ranging from ship-building to insurance to construction, etc., etc., etc.

That's the position in which Lee Kun-hee's only son, Lee Jae-yong, finds himself as vice chairman of Samsung Electronics, whose revenues account for 16 percent of Korea's gross national product. Nor is he the only Samsung family heir-in-waiting. He's got two sisters, one of them a power in Everland, the central holding company of the empire, the other in charge of the Shilla Hotel, among other enterprises. Lee, the son, now ranks as Korea's third wealthiest man, worth $5 billion, according to Forbes' latest list of the 50 wealthiest Koreans, while his father reigns at the top of the list with riches of nearly $13 billion.

Primogeniture, a phenomenon everywhere, seems especially accentuated in Korea's Confucian culture with emphasis on the family at the heart of life. Intuitively, the men who founded the chaebol saw their sons as rightful heirs not just to bank accounts, investments and trust funds but to direct control of their companies.

For the late Chung Ju-yung, the problem was a little more complex than for Lee Kun-hee since six of his eight known sons were alive when he passed away. Long before, however, he had arranged for each son to take over a branch of the empire. Chung Mong-koo, oldest surviving son, was placed in charge of the Hyundai Motor Group, which now includes Hyundai Steel and Hyundai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historic "mother company" of the group. Mong-koo ranks as Korea's second richest man on Forbes' list with a wealth of more than $7 billion while his son, Chung Eui-sun, vice chairman of his father's group, ranks fourth with a wealth of more than $4 billion.

No, you're not likely to see Bill Gates handing over Microsoft to his son and two daughters. In fact, Gates, the world's richest man with a net wealth of $70 billion, insists that he's not giving his three kids a trust fund on which to live effortlessly after he's gone. And the four children of the late Apple founder Steve Jobs are going in different directions too. His son Reed wants to become a cancer specialist after seeing his father die from that disease.

Or look at the background of John D. Rockefeller, who built Standard Oil into a global empire. While his descendants are enormously wealthy, he donated much more to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the University of Chicago, which he co-founded in 1890. The wealthiest American family, the Waltons, owe their wealth to Walmart, the world's biggest retail chain, founded by the late Sam Walton 52 years ago. Family members hold some of the highest posts, but Walmart, unlike the chaebol, is not spreading all over industry and commerce.

If the Korean system seems extreme, however, similar patterns are visible in all societies, Thomas Piketty, author of the best-selling Capital in the Twenty First Century, has shown that the income gap in the U.S. is widening more than just about anywhere else. The June issue of The Atlantic, an influential American magazine, summarizes the findings.

The income growth of the top one percent of Americans "has greatly outpaced that of those on the lower rungs,"says the article, but "it's the top one percent of the top one percent who have truly left everyone else in the dust." Half are in finance or in corporate positions with income tied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 growth or the stock market." And "the richer you are, the more likely it is that your riches come from stocks, not salary."

The title of the article, by Derek Thompson, is "How The Rich Shall Inherit The Earth." Sure, "We want to believe that wealth is the fruit of our labor," he writes, but "one's labor is less relevant to earnings at the top of the income pyramid." No, one cannot say the American or European or other capitalist systems are better or fairer than that in Korea. Rather, they are different.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