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직 의원 “차세대는 핵융합시대... 신재생은 곁다리”
윤상직 의원 “차세대는 핵융합시대... 신재생은 곁다리”
  • 김나희 미래한국 기자
  • 승인 2018.10.22 15: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 의원 ”좌파단체 비즈니스 창출에 불과한 신재생에너지에 전념하는 한심한 정부... 2035년 핵융합이라는 에너지 패러다임 대전환 대비해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윤상직 의원(자유한국당, 기장군)은 “정부가 탈원전의 대안으로 강조하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사실상 ‘곁다리’일 뿐, 차세대는 꿈의 에너지원이라 불리는 ‘핵융합의 시대’이므로 이를 잘 준비해야 한다”고 22일 강조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핵융합 기술은 꿈의 에너지원인‘인공태양’으로 불리며 인류의 미래 에너지원으로 손꼽히는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위한 정부의 과감한 투자 필요하다. 대한민국은 핵융합에너지 개발 관련, 후발주자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KSTAR의 성공적인 건설과 운영, 국제 공동사업으로 진행되는 ITER 사업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며 세계 핵융합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ITER(국제핵융합실험로)는 2025년 건설을 완료(현재 58%공정률)해 2045년까지 에너지를 안정적·효율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을 지속할 계획이다. ITER 프로젝트는 '핵융합을 통한 에너지 대량생산 가능성 실증'을 위해 프랑스 카다리쉬 지역에 핵융합로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국제 공동사업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러시아·EU· 일본· 중국·인도 등 7개 나라가 참여 중이다.
 

자유한국당 윤상직 의원
자유한국당 윤상직 의원

ITER에 참여한 국가들은 핵융합에 관련된 핵심기술을 확보해 향후 핵융합에너지 시장을 선점하려고 혈안 중인 상황. 특히, 중국은 ITER와는 별개로 2035년까지 핵융합발전소를 건설하겠다고 발표(2017.12월)하면서 국가차원에서 핵융합에너지 개발에 전력하겠다는 의지 표명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핵융합에너지 개발과 관련해서 2035년이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 ITER는 핵융합 반응의 지속성(자가생산/유지(Self Sustaining)) 검증 을 2035년에 시작해서 2038년까지 완료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2035년까지 ITER는 “외부에서 불쏘시개를 통해 플라즈마를 가열해 핵융합을 일으키게 한 후에 스스로 자체에너지를 가지고 핵융합이 지속하게 하는 학설로만 존재하는 걸 실험적으로 검증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우리도 2035년까지는 블랑켓 기술, 중성자 조사시설 등의 핵심기술들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우리는 아직 기초연구 수준의 예산 밖에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연 30억원 규모 밖에 편성이 안된 상황) 이러한 기술들이 확보되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그동안 우위를 점하고 있던 핵융합에너지 시장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핵융합발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야 지속가능한 수소경제 시대를 맞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깨끗하고 저렴한 수소를 생산해 낼 수 있고, 지속가능한 수소경제시대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핵융합발전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2035년 인류는 핵융합이라는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을 맞이할텐데 정부는 한심하게 좌파시민단체의 일자리 육성책에 불과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에 혈안이 돼 있다”면서 “블랑켓 기술 같은 핵심기술들이 확보를 위한 국가적 지원이 있어야지 퍼스트무버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