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길] 자유를 위한 투쟁, 그리고 반대편의 사람들
[미래길] 자유를 위한 투쟁, 그리고 반대편의 사람들
  • 김범수 미래한국 편집인
  • 승인 2019.06.18 12: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콩에서 100만명의 시민들이 자유를 위해 거리에 나섰다. ‘자유라는 이름의 나무는 피를 먹고 자란다’고 했던 토마스 제퍼슨의 명언은 시대를 초월해 유효하다.

69년 전 자유세계는 한반도에서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피를 흘렸다. 6·25전쟁에서 우리 국군은 사망자만 15만 명, 그 외 실종자와 부상자를 포함하면 85만 명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다.

또한 미군 사망 3만 6000명을 포함 유엔 참전국 군인 사망 및 실종자와 부상자 15만 명을 합해 한국과 미국 등 자유민주국가의 군인 희생자만 120만 명이 넘고 민간인 사상자를 합하면 피해자는 200만 명에 달한다.

오늘날 남과 북이 평화를 말하고 군사협정을 체결하고 있지만 북한은 수백만 자유인들의 피를 흘리게 한 침략전쟁에 대해 이제까지 단 한번도 사과를 표명하지 않았다.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이 북한 지도자와의 수차례 정상회담을 하면서 6·25에 대한 사과를 요구한 적이 한번도 없다.

김범수 미래한국 편집인<br>
김범수 미래한국 편집인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지난 6월 4일 청와대에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이 초청된 자리에서 6·25 전사자 고 김재권 일병의 아들 김성택 씨가 “화해는 전쟁을 일으킨 침략자의 사과가 전제돼야 한다. 69년이 지나도 사무친 원한이 깊은데 단 한마디 사과도 없이 평화를 말한다면 또 다른 위선이고 거짓 평화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 용기 있고 상식적인 시민 앞에 우리는 하염없이 부끄럽다.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현충일 기념사에서 ‘국군의 뿌리가 김원봉’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김원봉은 일제 시절 사회주의 계열에서 무장항일 운동을 하고 한편으로는 자유진영 임정의 활동을 방해하다가 해방후 북에 넘어가 인민군 창설에 기여하고 장관이 되어 6·25침략전쟁을 주도했던 '1급 전범(戰犯)'이다.

그러한 논리라면 6·25의 원흉 ‘김일성 장군’에게도 항일운동을 했다는 명목으로 언젠가 서훈을 줘야 한다 말인가. 그것이 문재인 대통령과 주변 사람들이 생각하고 추구하는 사회통합과 남북통일이었던가.

대한민국은 자유의 가치를 점점 잃어버리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듯하다. 자유를 잃는다는 것은 노예로 살아감을 의미한다. 자신들의 이념으로 지상천국을 만들겠다는 이들은 사람들이 자유를 국가에 반납할 것을 요구해 왔다. 히틀러와 스탈린이 그랬고 모택동이 그랬으며 북한 김씨 왕조가 그렇다.

그런 사회에서 개인들은 지배자들의 노예로 살아갈 수 밖에 없다. 타인의 자유를 납치해 자신들의 권력에 사용하려는 사람들은 과거에도 있었고 현재도 있다. 지금 대한민국에서 그들은 누구인가.

69년 전 우리는 공산 파쇼들로부터 자유를 지키기 위해 자유진영의 세계인들과 함께 한반도에서 200만이 넘는 희생을 치렀다. 그러한 기억은, 그리고 그에 대한 책임은 이제 더이상 필요없는 것인가. 과거를 정리하지 않고는 결코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