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원장 민기영)이 지난 3월 발표한 ‘2019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는 16조 원을 넘은 것으로 추정됐다. 이중 광고 등을 제외한 직접(순수) 매출 규모는 9조2094억 원(54.6%)이다. 또 지난해 기준 데이터산업에 종사하는 전체 인력은 34만4672명으로 전년보다 7.8% 증가했다.
확정 수치인 2018년 시장 규모는 15조5684억 원(직접 매출은 8조572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14조3530억 원)보다 8.5% 늘었다. 특히, 분야별 시장규모에서 데이터 거래 및 정보 제공 등을 포함한 데이터 서비스(7조5778억 원)가 전체 48.7%로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데이터산업에 종사하는 전체 인력은 전년 대비 7.8% 증가한 총 34만4672명으로 나타났다. 이중 데이터 관련 일을 직접 담당하는 데이터 직무 인력은 8만9058명으로 나타났다. 단, 일반산업까지 포함한 전 산업에서 종사하는 데이터 직무인력은 13만0833명이였다.
데이터 직무 인력을 분야별로 보면, 데이터 개발자(35.2%)와 데이터 엔지니어(16.4%)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4.5%), 데이터 분석가(7.4%), 데이터 아키텍트(7.3%), 데이터 컨설턴트(6.4%), 데이터 과학자(1.8%, 1600여 명) 순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인력 대비 향후 5년 내 가장 부족한 직무는 데이터 과학자(34.2%), 데이터 분석가(14.8%), 데이터 개발자(13.5%) 순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매년 실시하는 것으로, 통계청이 승인한 국가 승인통계조사다. 데이터 비즈니스를 영위하고 있는 데이터기업 모집단 7619개 중 1326개(응답수 1362개)를 표본으로 조사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