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정치참여와 신뢰회복
교회의 정치참여와 신뢰회복
  • 미래한국
  • 승인 2012.11.05 11: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황의각 편집고문·고려대 명예교수

기독교회의 정교분리논쟁은 예수님의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바치고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신약성경 마가복음 12장 27절)는 말씀과 “각 사람은 위에 있는 권세들에게 복종하라 권세는 하나님께로 나지 않음이 없나니 모든 권세는 다 하나님이 정하신 바라” (신약성경 로마서 13장 1절 이하)는 사도바울의 사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부패한 중세 가톨릭교회에 대항해 종교개혁을 일으키고 이끌었던 마르틴 루터(1483~1546)와 함께 존 칼빈(1509~1569)은 국가와 교회의 보완적 관계를 중시하면서 사회개혁사상을 견지하고 있었다.

칼빈의 사회개혁사상의 뿌리에는 기독교 신앙이 사회와 사회권력(정부)과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며 당연히 교회의 사회참여의 필요성을 중시한다.

교회의 국가발전 기여의 역사

기독교는 복음전파를 통해 모든 사람과 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을 그 궁극적 사명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교회의 핵심적 본질은 근본주의적 세계관인 성(聖)과 속(俗)의 이원화된 도식을 넘어서서 사회 전반에 의(義)와 선(善)한 역할을 담당하는 데 있다.

창조 후 인간에게 모든 것을 다스리라는 하나님의 명령(구약성경 창세기 1장 26, 28절)은 정치를 포함한 인간의 모든 삶의 영역에 미치는 것이다.

교회(신자의 공동체)와 국가의 기본업무영역은 구분되지만, 국가와 정치 역시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영역 안에 있기 때문에 교회의 분별력 있는 정치참여의 당위성이 마땅히 인정됨과 동시에 교회를 국가법 적용의 치외법권(治外法權) 영역에 두어서도 안 된다.

12월 대선을 앞두고 교회의 직간접 정치참여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종교인이 개인자격으로 정치 사회에 개입하거나 참여하는 것은 하등 문제될 것이 없지만 집단조직체로서 종교단체나 기관이 어느 특정 당파나 후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거나 후원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초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자칫 후보의 소속 종교에 따라 종교단체간의 노골적인 대립과 갈등의 소지에 대한 우려가 일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한국기독교(불교도 마찬가지이지만)는 초기부터 조직적으로 사회참여를 통해 민족과 국가의 발전에 이바지했을 뿐만 아니라 일제침략과 북한공산주의자들의 남침공격에 맞서 자유와 평화, 정의를 지키는 일에 크게 기여해 왔다.

1910년 3.1운동을 이끌었던 33인의 독립운동자 중 16명이 기독교인이었고 대한민국 초대 제헌국회가 이승만 대통령의 제안으로 기도를 시작으로 개원한 역사는 우연이 아니었다.

그러나 최근 일부 교계지도자들의 탈선에 따른 사회적 신뢰상실과 불투명한 교회운영으로 기독교에 대한 질타와 일반인들의 반(anti)기독교적인 비방의 목소리가 증대되고 있다. 해방 이후 2007년 대선 전(前)까지만 해도 기독교계가 정경분리정신을 지켜 정치적으로 어느 특정 후보 진영으로 기울지 않고 정당 후보 사이에서 대체적으로 중립을 유지하려 노력해 왔었다.

그러나 지난 대선을 기점으로 기독교인이 주축을 이루고 있던 ‘뉴라이트’를 중심으로 장로인 당시 이명박 후보를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 노골적으로 활동했던 것은 다 알려진 사실이다.

복음과 사회 참여를 통한 인간 구원

지난 대선에서 이명박 정권이 승리하게 된 배경에 기독교가 있었다고 보는 견해 때문에 이번 대선에서 비기독교계의 움직임도 하나의 반사작용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무현 정권 당시 사학법 개정 논란에 대해 기독교계가 대규모 반대시위라는 집단행동에 나섬으로써 법 개정의 옳고 그름을 떠나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서는 집단행동마저 불사한다는 나쁜 사회적 인식을 심어 일반인들의 반기독교적 정서가 확산돼 온 것 같다.

위의 지적은 교회가 정치나 사회 참여를 할 때 세속적 이해관계에 따라 행동할 것이 아니라 성경적 근거에 따라 사회(정치) 참여의 입장과 범위를 세워야만 성공적으로 선교와 바른 사회의식과 질서확립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히려는 데 있다.

교회는 복음선포와 사회참여폭 확대를 통한 인간 구원의 역사를 이루어 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요즘 정치집단처럼 부패해진 기독교계가 먼저 갱신과 변화를 통해 사회로부터 신뢰를 회복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과거 한국교회는 사회를 선도하며 사회윤리와 도덕의 역할 모델(role model)이 됐고, 목회자들은 국민의 선망과 존경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지난 30여년 양적으로 폭발적인 교회부흥을 경험한 한국교회가 헌금과 물량추구, 명예추구와 세속권위주의에 몰입해 말씀과 기도는 뒷전으로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교계 지도자들은 현실정치권을 기웃거리거나 매스컴타기를 구하는 한편 예배에서 성경말씀 선포보다는 북치고 장구치며 카타르시스(catharsis)적 복음성가에 치중함으로써 교인들은 화려한 외형교회생활을 즐기는 듯하지만 실상은 말씀과 영적양식 결핍증으로 시들고 있다.

그리고 상당수의 대형교회가 선교와 민족이라는 착각에 홀려 북한 적그리스도 정권에게도 하나님의 헌물을 보내고 있어 이를 지적해도 저들은 우이독경(牛耳讀經)식으로 무시하고 만다.

뿐만 아니라 교단내의 패거리 정치화로 인한 부패와 교단분열은 부끄러워 말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계와 교회의 개혁과 갱신의 필요성을 지적하면 오히려 교회를 음해하기 위한 사탄의 악의적인 비방으로 내몰면서 묵살해 버린다.

갱신을 통한 신뢰 회복이 우선

오늘날 더 심각한 교회문제는 목회자가 거짓말을 해도 비판하기보다 무조건 순종하고 따라야만 복 받는다고 세뇌돼온 평신도층이 너무 두껍고 장로나 권사, 집사 등 평신도 지도자들마저도 자기 권력으로 다스리는 목회자들을 무조건 좋게 여기기만 하기 때문에 잘못을 바로잡을 힘이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는 소수 성도에게는 없다는 점이다(구약성경 예레미야 5장 30-31절). 조만간 그 일은 하나님께서 하실 영역이다.

교회가 스스로 갱신과 변화를 통해서이든 하나님의 주권적 개입을 통해서이든 사회로부터 신뢰회복을 해야 정치 사회에 대해 영향력을 미칠 수 있고 인류구원과 사회변화를 위해 쓰임 받을 수 있게 된다.

올해 루터의 종교개혁 495주년을 맞아 한국교회가 성경 말씀에 부합되게 개혁과 변화의 지평을 열어 가면 교회는 앞으로 우리 정치와 사회 모든 분야의 개선과 발전에 다시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