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안하게도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지 않는다
미안하게도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지 않는다
  • 한정석 편집위원
  • 승인 2016.11.27 12:31
  • 댓글 1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우리 헌법 제1조의 이 구절을 모르는 국민은 없다. 이 구절은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의 헌법을 베낀 것이다. 하지만 독일은 이 구절을 2차대전 후, 헌법에서 삭제했다.

나찌의 전체주의 파시즘이 바로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바이마르 헌법의 이 구절을 反자유, 反민주적으로 이용해서 합법적으로 집권했기 때문이다. 그런 사실을 아는 우리 국민은 없거니와 학교에서도 가르치지 않는다.

‘나찌당’의 뜻은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이다. 나찌는 국가사회주의(National Socialism)라는 이념으로 노동자를 위한다고 했지만, 정작 사회주의와 노동자들을 탄압했다. 물론 기업가와 자본가들도 탄압했다. 나찌가 인정하고 보호한 국민은 나찌의 이념에 동조하는 자들 뿐이었다. 그것이 전체주의 파시즘의 위선적 얼굴이다. 그러한 위선에 정당성을 부여한 것은 바로 광장의 군중들이었다. 떼법이 헌법을 이긴 것이다.

‘박근혜를 구속하라’
청와대를 둘러싸고 수천의 군중들이 외쳤다. 아마도 그들 대부분은 선량한 시민들일 것이고 자상한 아버지이자 또 자녀들일 것이고 아내이자 딸들일 것이다. 그들은 집회가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면 일상의 가정과 직장에서 삶을 살아야하는 자연인들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런 가정의 자연인을 쪼에(Zoe)라고 불렀고 정치공동체, 폴리스(Polis)에 참여하는 시민을 비오스(Bios)라고 불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과 가족만 아는 자연인 쪼에의 삶은 살 가치가 없다’고 했다. 그렇기에 정치공동체에 참여하는 시민, 비오스의 삶이 가치있다면 비오스들은 ‘무엇이 정의인가’에 대한 개념을 가져야 한다.

그러면 묻게된다.
지금 광장에서 청와대를 포위하고 내란이나 외환의 죄가 아니면 소추되지 않는 대통령을 체포나 구속하라는 이들은 가치있는 삶을 사는 시민, 즉 '비오스'인가 아니면 ‘무지하고 비루한’ 자연인 쪼에들인가.

‘박근혜 퇴진’을 넘어 ‘박근혜 구속’을 외치는 광장의 군중들은 어쩌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고귀하고 영원한 삶’, 즉 폴리스의 시민인 비오스의 정치적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나찌의 독일 군중들도 그랬다. 나찌즘과 파시즘에 참여하는 삶도 정치적 삶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정치적 행동이 좋은 것인가’라고 반드시 물어야만 한다. 그것이 정치철학이다.

우리는 각자 자신의 정치적 생각이 옳다고 믿기에 주장하고 행동한다. 하지만 역사가 우리에게 알려주는 그 결과는 종종 ‘의도와는 다른’ 정치적 질서를 만들어 왔다. 우리 역사에서 대표적인 사건이 바로 ‘동학 난’이었다.

정치란 ‘적과 동지의 구별’로부터 등장하는 질서라는 독일 헌법학자 칼 슈미트의 지적처럼, 조선말 동학운동은 ‘민심은 천심’을 내세워 '공공의 적'을 상정했다. 바로 민비였다. 한국경제신문의 정규재주필은 ‘민비를 때려잡자’는 동학도들의 혁명이 의도와는 다르게 ‘조선을 때려 잡았다’라고 말한다. 동학난은 외세 배격을 내세웠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일본과 청제국이라는 외세의 개입 질서를 만들었고, 조선은 전쟁의 살육장이 되어버렸다.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주장은 적어도 조선말 동학운동에서는 역사적 진실이 아니었다. 동학운동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역사적 교훈이 있다면 ‘권력은 민중’이 아니라 ‘주권자의 의지’로부터 나온다는 것이 된다. 주권자가 누구인가가 명확하지 않다면 국가의 권력은 다른 주권자들에게 넘어가게 된다. 그것이 국가와 주권간에 숙명적인 관계다.

민중(Volks)을 내세운 독일 나찌의 운명도 결국 주권의 실패로 귀결됐다. 2차대전에서 독일은 패망했고 독일인들이 그토록 환호했던 19세기 통일된 독일은 다시 동독과 서독으로 분열됐다. 독일의 일부는 소련에게 그 주권이 넘어갔다.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 구절이 폐기된 것은 바로 독일인들의 반성에서 나온 것이다. 국민이란 ‘자유의 헌정’에 복종하는 존재여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자유로 자유를 파괴할 수 없고, 민주로 민주를 파괴할 수 없다’는 자유민주주의, 그리고 또 다른 이름인 ‘방어민주주의’의 원칙에 국민도 복종해야 한다는 원칙이 독일 헌법의 제1조를 수정하게 된 이유다.

‘박근혜를 구속하라’, ‘박근혜는 하야하라’
이러한 광장의 외침은 모든 국민이 복종해야 하는 헌정 질서와는 관계가 없다.
아무리 그 수가 100만을 넘고 폭력이 없는 평화집회라 하더라도, 그러한 외침과 행동은 주권자의 입법명령으로 제정된 헌법 질서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주권자란 만장일치로 성립된, 그래서 분할되지 않고 양도되지 않는 ‘총의(總意)적 존재’이지,‘다수적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헌법의 밖에서 헌법의 질서를 파괴하는 정치적 행동을 우리는 ‘내전(Civil War)'이라고 부른다. 내전이 성공하면 혁명이 되고, 실패하면 반란이 된다. 아무리 평화적인 방법의 내전이어도 그것은 혁명이든 반란의 전초가 된다. ‘국민의 뜻’이란 언제나 총의(總意)가 아니면 안되기 때문이다.

 주권의 최고 의사결정권자인 대통령은 결단을 해야한다.
현재의 상황을 혁명으로 보고 스스로 퇴임할 것인가, 아니면 반란으로 보고 헌정수호를 위해 내전을 결심할 것인가. 그것이 설령 비상대권을 통한 계엄의 선포이든 뭐든 대통령은 결단해야 하는 것이다.

통치의 덕은 최선과 차선 사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악덕과 다른 악덕 그 사이에 존재한다. 용기라는 덕이 '비겁'이라는 악덕과 '만용'이라는 다른 악덕의 사이에 있는 것처럼, 헌정수호의 '공화주의적' 결단 역시 '독재'라는 악덕과 '무정부'라는 다른 악덕의 어딘가 쯤에 놓여있다.

‘주권자는 주권의 예외적 상황에서 결단할 수 있는 자이다.’
칼 슈미트의 말이다. 이 말이 지금 엄중하게 들리는 것은 주권의 최고 결정권자인 대통령이 주권의 예외적 상황에서 결단하지 못하면 주권은 다른 주권자들에게 넘어간다는 역사적 법칙 때문이다.

본 기사는 시사주간지 <미래한국>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외부게재시 개인은 출처와 링크를 밝혀주시고, 언론사는 전문게재의 경우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4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wisdom 2016-12-19 11:29:34
무지에서 나오는 말과 글은 위험하다. 당신 글들은 궤변이 심한 정권 부역용이다.
당신의 글은 보다 합당한 지식을 갖추고, 사회적 공의와 정의를 위한 것이길 바란다.

honesty 2016-12-15 03:29:27
민주적 바이마르에서 시작했을지는 모르나, 주권자의 결단, 이것이야 말로 나치의 정신인데. 이 글을 읽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칼슈미트를 모를거라고 생각해서 이런 정직하지 못한 글을 쓰신건지..

honesty 2016-12-15 03:27:19
글을 정직하게 쓰셔야죠. 칼슈미트야말로 대표적으로 나치에 협력한 학자인데, 그 부분은 쏙 빼고 말씀하시네요.

lol 2016-12-09 00:28:55
지금 국민들이 보기엔 부도덕하거나 부도덕할 우파와 북괴에 동조하거나 동조할 좌파만이 있는 게 정치판입니다. 안보때문에 제 살을 뜯어, 뻔뻔함이 하늘에 닿는 우파의 배를 계속 불려줘야 할지, 좌파와 김 정은 정권의 배를 함께 불려줘야 할지 사이에 고민이 많습니다. 사상 최악의 유엔 대표는 또 얼마나 등골을 빼먹을지, 국민을 위하고 나라를 위하는 정말 바른 우파가 절실합니다.

lol 2016-12-08 16:11:13
한국인님, 일본 대사관 앞 소녀상은 1 명이지요. 문제는 촛불든 이들을 악랄하게 이용하는 좌파입니다. 우파 정권의 부도덕성을 인해 일어난 사람들을 모두 좌파시하면 안됩니다. 대부분의 이들이 기다리는 건 도덕적인 우파입니다. 그동안 좌파가 정권을 잡은 건, 우파에 리드할 인물이 없기 때문이었죠